日펀드, 환노출형에 관심을

입력 2008-06-04 08: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환헤지 비교 20%P차이...'삼성당신을위한N재팬주식종류형자 2_A'연초이후 9.58%

올해 들어 글로벌 증시가 안정을 찾으면서 일본 펀드 역시 과거의 부진을 회복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원·엔 환율의 상승에 따라 환노출형이냐 환헤지형이냐에 따라 뚜렷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하나대투증권에 따르면 5월 29일 기준 연초이후 환노출형 펀드의 수익률은 9.1%인 반면, 환헤지형 펀드는 -10.3%의 성과를 나타내 무려 20%P 가까운 수익률 차이를 나타냈다.

펀드별로 살펴보면, 같은 기간 설정액 100억원 이상 펀드 중 환노출형 펀드인 '삼성당신을위한N재팬주식종류형자 2_A'의 연초이후 수익률은 9.58%로 가장 양호한 수익률을 나타냈다.

또한, 설정액인 1000억원이 넘는 'FT재팬플러스주식-자(A)' 역시 연초이후 6.36%의 수익률을 보였다.

반면, 환헤지형의 펀드들 중에는 연초이후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한 펀드가 하나도 없었다.

그나마 '피델리티재팬종류형주식-자(A)'가 연초이후 -3.99%로 가장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했지만, '삼성당신을위한N재팬주식종류형자 1_C'(-11.86%), '프랭클린템플턴재팬주식형자(E)'(-12.73%), '산은S&P Japan주식 1ClassA'(-12.8%) 등 대부분이 마이너스 10% 이상의 수익률을 보였다.

이에 대해 하나대투증권 손명철 펀드애널리스트는 "최근 들어 엔·달러 하락 속에 원·달러는 상승하면서 환헤지 여부에 따른 일본펀드의 수익률 차이는 상당한 컸다"고 분석했다.

또한 그는 "물론 일본펀드를 제외한 다른 해외펀드의 경우에도 환율에 따른 수익률 변화가 이슈가 되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펀드가 환헤지형으로 설정돼 있어 투자자들이 헤지 여부를 선택할 수 없다"며 "반면 일본펀드의 경우에는 환헤지형과 노출형이 구분돼 판매되는 경우가 많아 여타의 해외펀드와는 차이점이 있다"고 말했다.

손 펀드애널리스트는 "일본의 부정적인 경기상황 속에서 환율안정화, 외국인 주식 순매수 기조 확대 등 조금씩 나타나고 있는 긍정적 요인들을 감안할 경우, 일본 주식시장은 단기적으로는 변동성 확대 국면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장기적인 시점에서는 반등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따라서 그는 "일본펀드에 대해서는 성급한 추격매수보다는 포트폴리오 조정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하루 한 시간도 못 쉰다…우울한 워킹맘·대디의 현주소 [데이터클립]
  • 밀양 성폭행 사건 재조명…영화 ‘한공주’ 속 가해자들은? [해시태그]
  • [위기의 빈 살만] ① 네옴시티, 신기루인가...끊이지 않는 잡음
  • LTE 요금제, ‘중간’이 없다…같은 요금에 5G 6GBㆍLTE 250MB 데이터 제공
  • ‘20살’ 종부세 개편 초읽기…"양도·취득세까지 대개조 나서야" [불붙은 부동산세제 개편①]
  • 매크로 이슈 속 널뛰기하는 비트코인, 6만9000달러 선에서 등락 거듭 [Bit코인]
  • 엑소 첸백시 측 긴급 기자회견 "SM엔터 부당한 처사 고발"
  • 밀양 성폭행 사건 피해자 여동생이 올린 글…판결문 공개 원치 않는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607,000
    • -0.4%
    • 이더리움
    • 5,156,000
    • -0.94%
    • 비트코인 캐시
    • 658,000
    • -0.68%
    • 리플
    • 700
    • +0.29%
    • 솔라나
    • 226,500
    • +0.04%
    • 에이다
    • 619
    • -0.48%
    • 이오스
    • 994
    • -0.4%
    • 트론
    • 163
    • -1.21%
    • 스텔라루멘
    • 13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77,900
    • -3.05%
    • 체인링크
    • 22,380
    • -0.8%
    • 샌드박스
    • 586
    • -0.3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