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라 입시 비리 주도' 김경숙 前 이대 학장, 12일 특검 조사

입력 2017-01-11 19: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경희 전 이화여대 총장(오른쪽)과 김경숙 전 체육대학장이 지난달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제4차 청문회에서 답변하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최경희 전 이화여대 총장(오른쪽)과 김경숙 전 체육대학장이 지난달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제4차 청문회에서 답변하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정유라(21) 씨의 이화여대 입시 비리를 주도한 혐의를 받고 있는 김경숙(62) 전 체육대학장이 12일 특검에 출석한다.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이날 오전 10시 김 전 학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류철균(51) 디지털미디어학부 교수에 이어 남궁곤(56) 전 입학처장을 구속한 특검은 이대 입시비리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검은 이날 남 전 처장을 불러 조사한 결과 김 전 학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부를 만큼 충분한 증거를 확보했다고 판단했다.

김 전 학장은 이대가 정 씨에게 부정입학 및 학사관리 특혜를 제공한 의혹의 핵심인물이다. 남궁 전 처장은 정 씨가 2015학년도 이대 체육특기자 전형에 응시한 사실을 알고 면접위원들에게 '인천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딴 학생이 있으니 선발하라'고 지시한 혐의를 받고 있다. 남궁 전 처장에게 정 씨가 응시했다고 알려준 사람이 김 전 학장이다. 김 전 학장은 최순실(61) 씨와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이 사실을 알고도 묵인한 최경희(55) 전 총장도 조만간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교육부 발표에 따르면 이대는 정 씨가 체육특기자 전형 원서접수 마감 이후에 수상한 아시안게임 금메달 수상실적을 면접평가에 반영해 정 씨를 합격시켰다. 또 정 씨가 시험에 응시하지 않거나 과제물을 제출하지 않았는데도 학점을 부여한 사실이 교육부 감사 결과 드러났다. 정 씨가 교양수업 'K무크-영화스토리텔링의 이해' 기말시험에 응시하지 않았는데도 정 씨의 답안지가 제출된 게 한 예다. 류 교수가 이 수업 담당 교수였다.

정 씨는 지난해 10월 학교에 자퇴 원서를 제출했지만, 교육부 감사 결과에 따라 입학 자체가 취소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7월부터 햇살론ㆍ사잇돌대출 등 서민금융도 실시간 온라인 상담 된다
  • 김우빈·신민아, '쇼핑 데이트' 포착…10년째 다정한 모습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종합]가스공사 등 13개 기관 낙제점…'최하' 고용정보원장 해임건의[공공기관 경영평가]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683,000
    • -0.06%
    • 이더리움
    • 5,039,000
    • +2.79%
    • 비트코인 캐시
    • 547,500
    • -0.09%
    • 리플
    • 694
    • +0.87%
    • 솔라나
    • 191,500
    • -1.59%
    • 에이다
    • 546
    • +1.68%
    • 이오스
    • 809
    • +3.59%
    • 트론
    • 163
    • +0.62%
    • 스텔라루멘
    • 132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300
    • +2.3%
    • 체인링크
    • 20,340
    • +4.04%
    • 샌드박스
    • 459
    • +5.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