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17]삼성전자 TV ,‘SUHD’ 브랜드 떼고 ‘QLED’ 로 마케팅…“브랜드 아닌 카테고리”

입력 2017-01-04 1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김현석 사장이 미국 라스베이거스 킵 메모리 얼라이브(Keep Memory Alive) 센터에서 전 세계 200여 미디어가 모인 가운데 차세대 TV 'QLED'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김현석 사장이 미국 라스베이거스 킵 메모리 얼라이브(Keep Memory Alive) 센터에서 전 세계 200여 미디어가 모인 가운데 차세대 TV 'QLED'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가 QLED TV를 내놓으며 2년 간 사용해온 ‘SUHD’ TV 이름 사용을 중단한다. QLED TV로 미래 TV 기술의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는 포부다.

3일 (현지 시간) 삼성전자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킵 메모리 얼라이브 센터에서 QLED TV 공개 행사 후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QLED라는 이름을 내놓으며 SUHD 브랜드 사용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김문수 삼성전자 부사장은 “SUHD는 그동안 기술 기반이 아닌 단순한 마케팅 용어로 사용한 탓에 소비자들에게 와닿지 못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삼성은 이날 세계 200여 개 미디어가 모인 가운데 QLED TV(88인치형 Q9F·75인치형 Q8C)를 선보였다.

QLED TV는 메탈 퀀텀닷 기술을 바탕으로 더 깊은 검정색을 표현할 수 있고 TV 시청 시 주변 조명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밝거나 어두운 어떤 장면에서도 뛰어난 명암비를 제공한다. 더불어 최적화된 패널 구조를 적용해 어느 위치에서나 색의 왜곡 없이 감상할 수 있도록 넓은 시야각을 구현했다.

특히 풍부한 색을 표현하면서도 최고 밝기가 1500~2000 니트를 구현해 더 자연에 가까운 밝은 빛을 낼 수 있다. 이는 색 표현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는 밝기 저하를 감수해야 한다는 기존 상식을 깨는 핵심 기술이다. 블랙의 디테일도 대폭 강화해 주변조명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밝거나 어두운 어떤 장면에서도 디테일을 놓치지 않는다.

퀀텀닷은 가장 최근에 개발된 디스플레이 기술로 나노 입자 하나 하나가 색을 낼 수 있다. 삼성전자는 2002년부터 퀀텀닷 기술을 개발해 2015년 처음으로 퀀텀닷 SUHD TV를 선보였고 올해 QLED TV를 내놓았다. QLED는 브랜드가 아닌 하나의 카테고리로 만들겠다는 목표다.

김현석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사장은 “2009년에 LED TV 냈을 때 LED가 TV의 하나가 카테고리가 됐듯이 QLED는 브랜드가 아니고 하나의 카테고리”라며 “다른 TV 업체들이 QLED TV를 내놓을 수 있도록 격려하고 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060,000
    • +0.32%
    • 이더리움
    • 5,302,000
    • -0.23%
    • 비트코인 캐시
    • 643,500
    • -0.08%
    • 리플
    • 723
    • -0.69%
    • 솔라나
    • 231,000
    • -1.11%
    • 에이다
    • 630
    • +0.48%
    • 이오스
    • 1,135
    • +0.09%
    • 트론
    • 160
    • +1.91%
    • 스텔라루멘
    • 148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50
    • -0.87%
    • 체인링크
    • 25,650
    • -1.12%
    • 샌드박스
    • 622
    • +2.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