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웹드라마 ‘긍정이 체질’… 조회수 3000만 돌파

입력 2016-11-22 11: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긍정이 체질' 포스터 (자료 제공 = 삼성)
▲'긍정이 체질' 포스터 (자료 제공 = 삼성)

삼성은 웹드라마 ‘긍정이 체질’이 지난 18일 기준 누적 조회 수 3000만 회를 돌파하며 국내 웹드라마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지난달 31일 ‘긍정이 체질’ 첫 편이 공개된 후 11일 만에 2000만 조회수를 돌파한 데 이어 18일 만에 달성한 성과다.

이로써 ‘긍정이 체질’은 국내 웹드라마 사상 최단기간(11일) 2000만 조회 수 돌파, 최고 조회 수 3000만 회를 기록한 웹드라마라는 타이틀을 달게 됐다.

이 드라마는 삼성이 젊은 세대에 전하는 도전과 긍정의 메시지를 2030세대가 즐기는 웹드라마로 밀도 있게 담아냈다. 과거 전통매체에 진중하게 기업과 제품의 장점을 홍보했다면, 이제는 소셜미디어에서 자발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공감 콘텐츠를 활용해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전략이다. 삼성은 2013년부터 웹드라마를 통해 청춘들과 소통해 왔으며, 젊은 세대 역시 삼성의 메시지에 공감하며 매년 더 큰 호응으로 화답하고 있다.

인기 요인으로는 젊은 세대가 쉽게 공감할 수 있는 대학생활을 소재로 전개되는 생활 밀착형 스토리를 꼽을 수 있다. ‘긍정이 체질’은 영화학과 대학생 ‘환동’(도경수 분)이 영화 제작을 준비하다 그의 옛 연인 ‘혜정’(채서진 분)과 재회하며 벌어지는 이야기이다.

영화감독을 꿈꾸면서도 녹록지 않은 현실 속에서 졸업 후 진로를 고민해야 하는 대학 4학년 환동의 모습은 이 시대의 젊은이들과 닮아 있다. 환동이 영화 제작비 마련을 위해 친구와 아르바이트하는 모습이나 여주인공 혜정과 밀고 당기는 연애담 역시 대학생들이 흔히 겪을 수 있는 상황이다.

극 중 청춘을 위한 삼성의 라이브 퀴즈 콘서트 ‘청춘問답’, 대학생 강사가 중학생들의 방과 후 수업을 돕는 ‘삼성 드림클래스’ 등 삼성의 다양한 프로그램과 제품들을 극 흐름에 맞춰 자연스럽게 소개해 공감도를 높였다.

삼성 관계자는 “삼성은 젊은 층에게 익숙한 모바일 콘텐츠인 웹드라마를 통해 소통의 폭과 공감의 범위를 넓히기 위해 노력해 왔다”며 “이번 작품 '긍정이 체질'에서 꿈을 이루기 위해 젊은 패기로 역경에 맞서는 ‘긍정 아이콘’ 환동의 모습에서 젊은 세대들이 자신의 꿈을 향해 나아갈 힘을 얻기 바란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46,000
    • +0.53%
    • 이더리움
    • 5,205,000
    • -1.68%
    • 비트코인 캐시
    • 651,000
    • +0.31%
    • 리플
    • 725
    • -1.49%
    • 솔라나
    • 231,800
    • -1.28%
    • 에이다
    • 627
    • -2.03%
    • 이오스
    • 1,110
    • -2.2%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300
    • -0.8%
    • 체인링크
    • 25,320
    • -2.01%
    • 샌드박스
    • 611
    • -3.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