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우 프라코 대표 “자동화 설비 확충… 글로벌 시장 노크”

입력 2016-10-19 14: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0년 매출 1.3조 목표… 내달 8일 유가증권시장 상장

▲사진제공=프라코
▲사진제공=프라코
자동차용 플라스틱 부품·금형 전문기업 프라코가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한다.

김진우<사진> 프라코 대표는 19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IPO(기업공개) 기자간담회에서 “상장을 계기로 국내 자동화 설비 투자를 강화하고, 유럽을 넘어 중국과 미국 등에도 진출하겠다”라고 말했다.

1967년 대한페인트잉크사의 플라스틱 사업부로 출발한 프라코는 제품 및 금형 설계부터 개발과 생산, 인도까지 전 과정을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기업이다. 1980년 기아차 ‘봉고’ 부품을 양산하며 자동차 부품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으며, 2013년 삼보모터스 그룹에 편입됐다.

프라코가 생산한 플라스틱 부품은 쏘나타를 비롯해 모닝, 그랜저, 카니발, 투싼, K3 등 자동차에 장착됐다. 친환경차 시장이 커지고 자동차 내 플라스틱 소재 사용이 늘어나면서 향후 플라스틱 부품 수요는 증가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본사가 위치한 화성 외에도 서산, 진천, 아산 등 완성차 업체와 가까운 곳에 생산라인을 갖췄다. 광주에 위치한 자회사 나전은 기아차 광주공장에 부품을 공급하고 있다. 회사 전체 인력 453명 중 23.6%를 차지하는 연구개발(R&D) 인력을 기반으로 국내 특허 50개, 미국 특허 1개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82% 증가한 130억 원으로 창사 이래 처음으로 100억 원을 넘어섰다. 당기순이익도 2배 넘게 늘며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최근 5년 간 매출액은 연평균 14.8%,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7.3%, 36.8% 증가세를 보였다.

프라코는 지난해 말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SSC(Smart Cruise Control) 커버의 국산화 및 양산에 성공했다. 이를 신규 성장동력으로 삼아 성장세를 이어나갈 방침이다. 2020년 매출액 1조3000억원, 영업이익 65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 대표는 “공모자금을 바탕으로 설비 자동화를 위한 투자를 확충하고, 신기술·신제품을 개발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라고 밝혔다.

해외 진출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2006년 설립한 체코법인은 생산시설 확대를 본격화했으며, 중국은 기술수출을 중심으로 한 지원계약을 시작으로 향후 합작을 추진할 계획이다.

프라코는 20~21일 수요예측을 통해 공모가를 확정한 뒤 오는 27~28일 청약을 거쳐 11월 8일 상장할 예정이다. 희망 공모가밴드는 1만9000~2만1900원이며, 대표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간 때문이야”…국민 간장약 ‘우루사’ [장수의약품을 찾아서⑦]
  • "기다린 팬 행사라더니"…'BTS 진 허그회' 응모 조건 논란에 빅히트 뮤직 사과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160,000
    • +0.39%
    • 이더리움
    • 5,307,000
    • -0.62%
    • 비트코인 캐시
    • 643,000
    • -0.77%
    • 리플
    • 721
    • -0.69%
    • 솔라나
    • 229,200
    • -1.42%
    • 에이다
    • 627
    • -0.63%
    • 이오스
    • 1,123
    • -0.71%
    • 트론
    • 162
    • +2.53%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800
    • -0.82%
    • 체인링크
    • 25,470
    • -1.05%
    • 샌드박스
    • 612
    • -0.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