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러 외교장관 회담…북핵 문제·박 대통령 방러 논의할 듯

입력 2016-06-13 11: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13일(현지시간)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과 회담한다. 2013년 외교부 장관 취임 이후 처음이자 한국의 외교 수장으론 5년 만의 러시아 공식 방문이다.

러시아 외무부에 따르면 이번 한·러 외교장관 회담의 주요 의제는 양국간 우호협력 증진 방안이다. 세부적으로 △경제통상 확대 방안 △한반도 상황을 둘러싼 동북아 평화안보 확립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윤 장관의 러시아 방문의 주된 목적은 단연 북핵문제와 관련한 러시아와의 긴밀한 공조다. 윤 장관은 러시아로 출국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이번 방러는 “러시아와의 관계를 재정비해서 북핵 공조에 보다 긴밀한 협력을 이끌어낼 것”이라고 밝혔다.

동북아에서 평화와 안정은 역내 국가 상호간에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 러시아가 갖고 있는 기본 생각이다. 유엔 대북 제재의 철저한 이행은 동의하면서도 방법론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북한과의 지속적인 대화와 협상을 병행하여 평화적인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 러시아가 주장하는 한반도 문제에 대한 견해다. 러시아는 한반도 내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배치엔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사드 배치는 긴장감만 불어넣을 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 아니라는 것이다.

양국 간 경제 통상 문제도 주요 관심사다. 지난해 양국의 교역 규모는 160억 달러로 최저 수준이다. 양국은 2011년부터 200억 달러 규모의 교역을 유지했지만, 서방의 경제적 제재가 본격화된 2014년부터 급감하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양국 경제 협력의 마지막 보루였던 나진하산 프로젝트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로 어그러졌다. 나진하산 프로젝트는 양국 공히 국가적 차원의 높은 관심과 기대를 받고 출발했던 사업이었다. 러시아는 유엔의 대북 결의 채택 직전에 나진하산 프로젝트 예외 규정을 관철시키며 사업 추진에 강한 의지를 보였지만 우리 측의 단호한 결정으로 중단됐기 때문에 아직까지 내심 서운한 마음이 크다는 것이 현지 한반도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윤 장관은 이번 러시아 방문 기간에 라브로프 장관과 박근혜 대통령의 러시아 공식 방문에 관해서도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의 방러가 이번 한·러 외교장관 회담의 공식 의제로 선정되지는 않았으나 박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 건에 대해 구체적인 조율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를 비롯, 외교무대에서 만나는 아세안 주요국 정상들을 오는 9월 2~3일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최되는 동방경제포럼에 초청하고 있다.

한편 박 대통령은 2013년 9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해 푸틴 대통령과 회담했고, 같은해 11월 푸틴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해 양국 정상회담을 개최했다.

전명수 러시아 주재기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음반 밀어내기 권유 사실…하이브에 화해 제안했다"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14,000
    • -0.87%
    • 이더리움
    • 5,264,000
    • +0.84%
    • 비트코인 캐시
    • 636,500
    • -1.62%
    • 리플
    • 724
    • +0.14%
    • 솔라나
    • 233,100
    • +0.56%
    • 에이다
    • 624
    • +0.32%
    • 이오스
    • 1,132
    • +1.07%
    • 트론
    • 157
    • +0.64%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550
    • -0.98%
    • 체인링크
    • 25,630
    • +2.89%
    • 샌드박스
    • 603
    • -0.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