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계, “노회찬, 가맹점 수수료 과다 적용”

입력 2007-06-08 09: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가맹점수수료 정치권 개입은 가격시장 왜곡 우려

카드업계과 은행계가 민노당 노회찬 의원이 7일 발표한 ‘7개 시중은행, 지난해 체크카드 부당이익 1890억원 추정’에 대해 잘못된 수치 적용을 통해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면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노 의원이 적용한 가맹점 수수료율이 지나치게 높게 적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금감원 발표 자료에 따르면 전업계 카드사의 가맹점수수료율 평균은 2.20%이며, 겸영은행까지 포함해도2.37%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 의원은 7대 시중은행의 가맹점수수료율을 단순 평균해 2.89~3.22%라며 자의적인 해석했다는 것이 금융계의 지적이다.

금융계 관계자는 “민노당에서 밝힌 겸영은행 가맹점수수료율은 여신금융협회에서 공시하고 있는 업종별 기본 수수료율”이라며 “실제로 적용되는 가맹점수수료율은 카드사와 가맹점간의 개별 약정으로 성립되며, 매출건전성 및 수익기여도 등 다양한 요인들에 따라 가맹점별로 차등 적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겸영은행 비용구조 및 체크카드 비용 추정에도 근거가 빈약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금융계 관계자는 “노 의원이 작성한 체크카드 비용추정표에는 신용카드업이 본래 대규모 시설투자가 필요한 장치산업으로 매년 발생하는 상당액의 감가상각비 및 신기술 발달에 따른 신규설비 투자비용과 일반 업무관리비용이 누락되어 있다”며 “이 추정자료는 전반적으로 부정확하며 따라서 관련 근거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체크카드가 전체 신용카드 시장(신용카드이용실적+체크카드이용실적)에서 5% 미만의 점유율(2007년 1분기기준)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율과 별도의 수수료율을 적용하는 경우 동일가맹점에서 2개의 수수료 체계로 운용되는 비효율성이 발생된다”며 “전산개발, 인력투입 등 업무의 이중처리 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가맹점 수수료율은 카드사와 가맹점간 협의를 통해 시장자율로 결정돼야 한다”며 “정치권에서 개입할 경우 당사자간의 수수료협상을 어렵게 해 가격시장의 혼란 만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박스권에 갇힌 비트코인, 美 경제 지표·연준 눈치 보며 연일 횡보 [Bit코인]
  • 밀양 성폭행 사건 재조명…영화 ‘한공주’ 속 가해자들은? [해시태그]
  • 치열해지는 제 4인뱅 경쟁...시중은행이 뛰어드는 이유는
  • “토큰으로 해외송금” 아고라 프로젝트에 KB국민·신한은행 참여한다
  • 오물풍선 자꾸 날아오는데…보험료 할증 부담은 오롯이 개인이?
  •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 '최강야구' 모닥불러 유희관·파이어볼러 니퍼트 등판에 당황한 대구고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8시 월드컵 예선 6차전 중국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1 14:4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963,000
    • -2.68%
    • 이더리움
    • 4,980,000
    • -3.64%
    • 비트코인 캐시
    • 635,000
    • -3.13%
    • 리플
    • 681
    • -2.44%
    • 솔라나
    • 215,100
    • -4.06%
    • 에이다
    • 604
    • -2.27%
    • 이오스
    • 964
    • -2.43%
    • 트론
    • 163
    • -0.61%
    • 스텔라루멘
    • 13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74,000
    • -6.57%
    • 체인링크
    • 21,950
    • -2.4%
    • 샌드박스
    • 566
    • -2.7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