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보 상장, 수익성ㆍ자산성장률 등 개선 효과 기대

입력 2007-04-27 08: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감위, 美 4개 보험사 상장 前後 분석

생보사의 상장으로 인해 보험사의 수익성 증대로도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7일 금융감독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2000년 이후 상장한 미국 대형 생보사 4곳(네이션와이드, 하트포드, 메트라이프, 푸르덴셜)의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상장 이후 수입보험료, 자산규모 성장률 및 수익성 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먼저 수입보험료(판매량)의 경우 생보시장 전체의 성장률은 10.7%에서 3.6%로 대폭 줄어든 반면 상장 4개사의 경우 상장 전 5.5%에서 상장 후 6.1%로 0.6%P 높아졌다. 상장 후 대형화로 인한 규모의 경제 효과 및 적극적 영업전략 등이 이 같은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풀이된다.

총자산 성장률에 있어서도 4개 상장자의 총자산 성장률은 10.8%로 모두 시장평균 성장률 0.4%를 상회했다. 특히 2000년과 2001년에 상장한 메트라이프와 푸르덴셜의 경우 성장률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메트라이프의 경우 5.4%에서 8.9%로, 푸르덴셜 역시 3.1%에서 12.6%로 크게 높아졌다.

당기순이익 면에서도 4개 상장사의 경우 연평균 당기순이익 증가율은 118.8%로 시장 전체 연평균 당기순이익 증가율 9.3%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특히 하트포트와 푸르덴셜은 각각 295.6%, 227.0%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총자산수익률(ROA) 역시 이들 4개 상장사는 0.4%에서 0.45%로 높아진 반면 비상장사는 0.72%에서 0.57%로 낮아졌다.

금융감독당국은 국내 생보사도 상장될 경우 대규모 자본조달 및 인수ㆍ합병 등 구조조정을 통해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치열한 시장경쟁 과정에서 여타 보험사와의 합병뿐 아니라 증권사 등 타금융회사 인수 등을 통해 궁극적으로 보험지주회사도 출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중소보험사도 자율합병 등을 통해 규모의 대형화를 추진할 가능성이 있고, 은행 등 여타 금융회사의 생보사 인수도 원활해지는 등 시장기능에 의한 자발적 구조조정도 촉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마운트곡스 상환 물량에 움츠러든 비트코인, 13조 원어치 '시한폭탄' 움직였다 [Bit코인]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3:5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556,000
    • -0.53%
    • 이더리움
    • 5,245,000
    • -1.76%
    • 비트코인 캐시
    • 648,500
    • -0.84%
    • 리플
    • 731
    • +0%
    • 솔라나
    • 235,600
    • -0.72%
    • 에이다
    • 630
    • -1.41%
    • 이오스
    • 1,130
    • +0.18%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49
    • -1.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950
    • -0.57%
    • 체인링크
    • 25,990
    • +1.84%
    • 샌드박스
    • 620
    • -1.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