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비리 확인] 부실 성진지오텍 인수ㆍ정치권 연루 등 이투데이 보도 사실로 드러나

입력 2015-11-12 09:51 수정 2015-11-12 11: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부실기업 인수, 정치권 뇌물공여, 친인척 특혜, 횡령, 향응, 취업청탁, 특정기업 일감 몰아주기…. 이투데이가 지난 2012년부터 지속적으로 제기한 포스코의 구조적 비리가 이번 검찰 수사로 실체를 드러냈다. 기업의 구조적 모순을 끊임없이 지적하고, 이를 밝혀낸 이투데이의 사회적 공기 역할이 검찰의 수사로 이어져, 여러 의혹들이 사실로 확인된 것이다.

이투데이의 포스코에 대한 끊임 없는 추적 보도로 정준양(67) 전 회장은 기소되고 포스코의 전ㆍ현직 회장 8명 중 5명이 재판에 넘겨졌다. 하지만 이투데이는 여기에 만족하지 않는다. 이러한 대물림을 끊어야 하는 데 앞장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검찰의 수사 발표를 계기로 포스코는 환부를 도려내고 정치권과의 연관성을 끊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투데이는 앞으로도 포스코에 관심을 쏟으며 발전적 문제제기를 계속 해나갈 방침이다.

◇부실 성진지오텍 인수, 계열사 확장 문제 제기 = 이투데이는 지난 2012년 10월 8일 ‘포스코는 수술 중’이라는 연재를 시작했다. 정 전 회장이 경영 시너지 효과를 알 수 없는 부실기업을 무더기 인수한 배경에 대한 문제 제기였다. 정 전 회장이 계열사를 늘리는 과정에서 회사의 체력은 바닥나고 건정성은 악화됐다. 그가 2012년 포스코 계열사의 대대적인 통폐합에 나선 것도 부실 흔적을 지우기 위한 측면과 무관치 않다는 것이 이투데이 보도의 주요 요지였다.

당시 본지 취재에 따르면 정 전 회장 취임 전 31개였던 계열사는 2012년 9월 기준 71개로 늘어났다. 2009~2012년까지 18개의 포스코 계열사는 자본잠식 상태였다. 정상적인 기업 경영 상황이 아니었다. 포스코 계열사들의 2011년 적자규모는 2055억원으로 2008년보다 6배나 늘어났다.

정 전 회장의 성진지오텍(현 포스코플랜텍) 인수는 부실 기업 인수의 대표적 사례였다. 당시 본지는 포스코가 성진지오텍을 인수할 경영적 근거가 없다고 보도했다. 포스코그룹 산하인 포스코경영연구소가 2011년 성진지오텍을 ‘수준 이하의 계열사’로 진단한 것도 본지의 취재를 통해 밝혀졌다. 이투데이는 또 포스코의 성진지오텍 인수에 관여한 핵심관계자의 인터뷰를 통해 정 전 회장이 정치권의 외압으로 성진지오텍을 인수했다고 보도했다.

포스코가 자회사의 부실을 인정하기보다는 ‘눈 가리고 아웅’식 대처도 문제로 지적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2012년 당시 “성진지오텍은 포스코의 미래”라며 “2013년에는 흑자로 돌아설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러나 성진지오텍은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며 결국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수순을 밟게됐다.

전정도 세화그룹 회장(전 성진지오텍 회장)이 성진지오텍을 매각하면서 특혜를 받은 점도 본지가 집중 보도했다. 성진지오텍은 2009년 말 부채비율이 1613%에 달했지만 포스코는 100%에 가까운 경영권 프리미엄을 주고 회사를 인수했다. 전 회장은 부실 기업을 포스코에 팔면서 경영권도 5년간 유지했다. 또 성진지오텍의 일부 공장은 여전히 자신의 명의로 남겨 놓으면서 막대한 임대수익을 올린 것도 이투데이 보도를 통해 알려졌다. 검찰은 이번 수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전 회장은 289억5650만원의 차익을 실현할 정도로 특혜를 받았다”고 밝혔다.

◇정준양 전 회장의 독단 결정 첫 보도 = 포스코의 계열사 확장 과정은 정 전 회장의 독단으로 결정된 것도 본지가 2012년 처음으로 문제 제기했다. 당시 이투데이는 포스코의 핵심 관계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포스코는 모든 조직이 회장 직속으로 돼있다”며 “정 회장은 혼자 돌아다니면서 측근 이외에는 아무도 모르게 인수ㆍ합병(M&A), 회사설립 등을 뚝딱 해냈다”는 증언을 확보했다.

이번 검찰 수사에서도 정 전 회장이 일부 측근과의 밀실 논의로 성진지오텍을 인수한 것이 밝혀졌다. 검찰에 따르면 정 전 회장은 이사회 승인사업의 경우 인수 타당성 검토는 투자부서에서 주관하는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실행해야 하지만, 이 과정을 생략했다. 대신 정 회장은 직속으로 보고를 받는 전략사업실을 통해 성진지오텍의 인수 타당성 검토와 인수 실행까지 모두 진행했다. 당시 전략사업실장이었던 전모(55)씨도 1592억원의 배임 혐의로 정 전 회장과 함께 기소됐다.

◇이상득ㆍ박영준 정치권 연루도 제기 = 포스코와 정치권의 연루 의혹도 본지가 집중 보도한 부분이다. 정 전 회장의 선임 과정부터 박영준(55) 전 지식경제부 차관이 깊이 관여한 것이 이번 검찰 수사를 통해 밝혀졌다.

박 전 차관의 뒤에는 이상득(79) 전 의원이 있을 것이란 게 당시 본지의 시각이었다. 이 전 의원은 포항에서 지역경제의 수장 역할을 하며 각종 이권에 개입했을 것이란 의혹 제기였다. 전정도 회장도 울산, 포항 등에서 활동한 경제인이었다. 이 때문에 포스코의 성진지오텍 인수 과정도 이와 무관치 않을 것이란 의혹을 잇따라 제기했다. 검찰 수사를 통해 이 전 의원은 측근의 회사를 통해 포스코로부터 12억원의 뇌물을 건네 받은 것이 밝혀졌다. 이 전 의원과 지역경제의 검은 고리의 일부가 드러난 셈이다.

◇검찰 수사 이후에도 친인척 비리 집중 보도 = 본지는 지난 3월 검찰 수사가 시작된 이후에도 포스코의 여러 비리 의혹을 집중해서 다뤘다.

정동화(63) 전 포스코 부회장이 처남에게 특혜를 준 의혹은 지난 3월 17일 이투데이가 처음으로 보도했다. 성진지오텍의 이란 비자금 조성도 본지가 의혹을 제기했으며 일부분이 검찰 수사를 통해 사실로 드러났다.

포스코가 동양종합건설에 일감을 몰아준 것도 이투데이의 보도로 드러났다. 이투데이는 지난 3월 19일 포스코가 2009년부터 2013년 12월까지 총 2400억원 규모의 공사를 동양종합건설에 몰아준 내부 문건을 확보했다. 배성로(60) 전 동양종합건설 회장은 특혜 공사 낙찰로 인한 업무 방해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정 전 회장이 과거 전 회장과 그의 형 전영도 울산상의 회장의 비리를 확인하고도 이를 묵인한 정황 역시 검찰 수사 이후 이투데이가 처음 보도한 기사다. 전 회장은 이란 사업에서 662억원을 횡령한 혐의로 현재 구속 수감 중이다.

◇잇따른 포스코 보도, 시장의 오해도 = 이투데이가 포스코의 보도를 선도적으로 해나가자 일부 시장의 오해도 있었다. 기업 광고주들이 만든 반론보도닷컴은 지난 2012년 10월 15일 ‘이투데이의 연이은 포스코 관련 부정기사에 배경 관심’이란 기사를 올렸다. 당시 기사에서 반론보도닷컴은 이투데이의 포스코 기획을 “포스코가 이투데이에 대단히 밉보인 모양”이라고 평가했다.

또 한 경제지는 지난 2012년 10월 17일 ‘기업이 자경단 꾸리는 한심한 언론 환경’이라는 칼럼을 실었다. 칼럼은 이투데이를 한 인터넷 뉴스매체라고 표현하면서 “기사의 무리한 전개와 거친 표현에서 뭔가 의도가 숨어 있다는 사실을 어렵지 않게 읽어낼 수 있다”며 “결코 정상적인 보도 행태는 아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이번 검찰 수사로 이투데이의 당시 보도는 모두 사실로 확인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7월부터 햇살론ㆍ사잇돌대출 등 서민금융도 실시간 온라인 상담 된다
  • 김우빈·신민아, '쇼핑 데이트' 포착…10년째 다정한 모습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종합]가스공사 등 13개 기관 낙제점…'최하' 고용정보원장 해임건의[공공기관 경영평가]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290,000
    • -0.01%
    • 이더리움
    • 5,001,000
    • +3.05%
    • 비트코인 캐시
    • 544,000
    • +1.12%
    • 리플
    • 694
    • +1.46%
    • 솔라나
    • 190,000
    • -0.31%
    • 에이다
    • 544
    • +2.06%
    • 이오스
    • 804
    • +4.69%
    • 트론
    • 163
    • +0%
    • 스텔라루멘
    • 132
    • +3.9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750
    • +3%
    • 체인링크
    • 20,200
    • +4.94%
    • 샌드박스
    • 457
    • +6.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