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그룹, CJ헬로비전 SK텔레콤에 매각… “콘텐츠 사업에 집중”

입력 2015-11-02 09: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콘텐츠 강자인 CJ와 ICT 강자 SK가 포괄적 사업협력에 나선다.

CJ그룹은 2일 종합유선방송사업자인 CJ헬로비전을 SK텔레콤에 매각하고, 향후 콘텐츠 창작 및 스타트업 지원 사업에 양 그룹이 함께 투자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CJ-SK 사업협력 방안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CJ㈜와 CJ오쇼핑, CJ헬로비전은 이날 오전 이사회를 소집해 주식매매계약 및 유상증자, 기타 사업제휴 내용을 결의했다.

이에 따르면 CJ그룹은 CJ오쇼핑이 보유한 CJ헬로비전 주식 53.9%를 SK텔레콤에 1조원에 매각한다. 우선 CJ오쇼핑이 보유한 CJ헬로비전 지분 30%를 5000억원에 매각하고, CJ 오쇼핑의 CJ헬로비전 잔여 지분(23.9%)은 향후 콜ㆍ풋 옵션 행사를 통해 양도할 계획이다.

그러나 CJ헬로비전의 N스크린 브랜드인 티빙(Tving) 앱/온라인 서비스 부문은 모두 CJ E&M으로 매각, 이관된다.

SK텔레콤은 전략적 제휴ž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CJ그룹 지주사인 CJ㈜에 1500억원 규모의 제3자 유상 증자에 참여한다.

또 CJ그룹과 SK텔레콤은 창작 및 창업 붐업(Boom-up)을 위해 콘텐츠 펀드와 스타트업 지원 펀드에 각 500억원씩 1000억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일자리창출 등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나서기로 했다. CJ그룹에서는 CJ E&M과 CJ오쇼핑이 250억씩 출자할 예정이다.

CJ그룹 관계자는 “이번 제휴로 CJ는 콘텐츠 부문에, SK는 플랫폼 부문 등 핵심사업부문에서 `선택과 집중’이 가능해졌다”며 “향후 그룹차원의 전략적 제휴,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의 국격을 높이는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에 이바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이 CJ㈜의 1500억원 규모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것도 각자의 핵심역량인 콘텐츠와 플랫폼에 집중하고 향후 전략적 우호협력 관계를 통해 시너지를 극대화하겠다는 의미가 담긴 것이라고 CJ그룹은 설명했다.

CJ 관계자는 “2002년 출범 이후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해온 CJ헬로비전이 최근 경쟁심화 등 급격한 외부 환경의 변화로 지속성장에 어려움을 겪었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M&A, 전략적 제휴 등 다양한 시도를 하던중 SK측에서 적극적 인수의향을 보여 양사가 WIN-WIN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했다”고 매각배경을 설명했다.

CJ그룹은 이번 거래로 유입되는 현금 등을 토대로 문화 콘텐츠 사업과 글로벌 투자, 신성장 동력 사업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그룹 관계자는 “미래지향적 ’소프트파워’ 를 앞세워 글로벌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설 것”이라며 “2020년 GREAT CJ달성을 위해 향후 추진될 신사업 동력재원으로도 사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274,000
    • -1.76%
    • 이더리움
    • 4,913,000
    • -2.21%
    • 비트코인 캐시
    • 577,000
    • -5.41%
    • 리플
    • 695
    • -0.29%
    • 솔라나
    • 201,900
    • -1.27%
    • 에이다
    • 566
    • -3.25%
    • 이오스
    • 875
    • -6.12%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36
    • -2.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300
    • -4.95%
    • 체인링크
    • 20,110
    • -4.28%
    • 샌드박스
    • 494
    • -9.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