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9월 15일 在邦必聞(재방필문) 나라에 이름은 널리 알려졌지만

입력 2015-09-15 11: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문(聞)은 듣는다 외에 소문나다, 알려지다, 아뢰다와 같은 뜻도 있다. 문인(聞人)은 듣는 사람이 아니라 이름이 널리 알려진 사람이다.

다음은 논재어 안연(顔淵)편에 나오는 이야기. 자장(子張)이 “선비는 어떻게 해야 달인의 경지에 이를 수 있습니까?” 하고 물었다. 공자가 “네가 말하는 달인이란 어떤 사람이냐?”라고 반문하자 그는 이렇게 답했다. “나라에서 일을 보아도 반드시 이름이 나고 집에 있어도 반드시 이름이 나는 것입니다.”[在邦必聞 在家必聞]

공자는 “그건 명성이라는 것이지 달인은 아니다”라며 이렇게 알려준다. “달인이란 본질이 곧으며 정의를 사랑하고 남의 말과 표정을 잘 살피며 아래 사람을 생각할 줄 알아 나라 안에서나 집안에서 달인이 되는 것이다. 명성을 따르는 사람은 얼굴빛으로는 어진 것 같지만 행동은 딴판이며 위선으로 살면서도 아무 의혹이 없는 사람이니 나라에서든 집안에서든 겉으로만 이름이 나는 것이다.”[夫達也者 質直而好義 察言而觀色 慮以下人 在邦必達 在家必達 夫聞也者 色取仁而行違 居之不疑 在邦必聞 在家必聞] 달인이 돼야지 문인이 돼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1629~1703)은 노론에 맞서 주자학을 비판하고 실사구시적 학문태도를 견지한 선비다. 그가 1686년(숙종 12)에 차남 태보(泰輔)에게 보낸 편지에 이런 대목이 있다.

“조카 태은(泰殷)이 물은 일은 송림비(松林碑)를 지을 때 내 뜻을 이미 편지에 자세히 피력했으니 어찌 이견이 있겠느냐. 우리 선대는 모두 곧은 도를 지키며 행하다가 끝내 곤액을 당했지만 후회한 적이 없었다. 뒤에 가탁하여 나를 알아주는 것으로 삼는 것 또한 삼가지 않아서는 안 되니 어찌 의당 낯빛으로만 취할 뿐이겠느냐.” 글을 지어 줄 때 얼굴빛으로만 어진 것 같은 문인(聞人)을 경계하라는 뜻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음반 밀어내기 권유 사실…하이브에 화해 제안했다"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666,000
    • -0.54%
    • 이더리움
    • 5,277,000
    • +0.88%
    • 비트코인 캐시
    • 639,000
    • -1.31%
    • 리플
    • 726
    • +0.28%
    • 솔라나
    • 233,300
    • +0.3%
    • 에이다
    • 625
    • -0.16%
    • 이오스
    • 1,134
    • +0%
    • 트론
    • 155
    • -0.64%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800
    • -1.38%
    • 체인링크
    • 25,600
    • +2.69%
    • 샌드박스
    • 604
    • -0.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