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과잉 공포’를 넘어라…경제는 심리다

입력 2015-06-11 10: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메르스로 국민들 경제활동 스톱 경기침체 불러…일상으로 돌아가 위축된 소비심리 살려야

#국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공포증이 극에 달하면서 지난 10일까지 방한을 취소한 외국인 관광객이 7만명에 이르고 있다. 특히 상하이에 있는 외국 대형 크루즈선이 9월 말까지 제주항, 부산항, 인천항 등 한국 기항지에 입항하지 않겠다고 한 것으로 11일 알려졌다. 이 기간 약 19만명(지난해 들어온 크루즈 선박 규모 정원 대비 80%)의 크루즈 관광객이 들어오지 못해 한국관광공사가 집계한 피해 규모는 크루즈 관광객 1인당 평균 지출 금액 117만원을 곱하면 2223억원 정도다.

방역당국의 초기 대응 실패로 메르스 격리자가 3500명을 넘어서면서 메르스 공포가 경제적 손실로 이어지면서 한국경제가 흔들리고 있다. 메르스 공포로 약 2500곳의 초·중·고교, 유치원이 휴업했고 병원을 비롯한 극장, 백화점, 놀이공원 등 사람이 몰리는 곳은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메르스 괴담과 소문이 카톡이나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확대 재생산되면서 과잉 대응으로 경기침체의 늪에 빠지고 있는 것이 문제다.

전문가들은 현재 국민의 공포감은 심리적 문제가 크며 사실상 일상으로 돌아가도 큰 문제가 없다고 지적한다.

이번 메르스 사태는 지난해 세월호 참사와 마찬가지로 간신히 살아나려는 경기회복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크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세월호 참사로 인한 추도 분위기가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민간 경제가 1조8000억원가량 감소해 경제성장률이 약 0.2%포인트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메르스 사태가 세월호 때보다 더 큰 경제적 피해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한다.

최근 모건스탠리는 메르스 확산이 3개월 지속할 때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0.8%포인트가량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도 “과거 사스가 유행하던 시기의 중국과 홍콩의 경제성장률이 각각 2.9%포인트, 4.5%포인트 하락한 점을 고려하면 메르스 사태로 4% 수준의 성장률 둔화를 야기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과잉 불안의 심리적 문제로 경기가 침체하고 있어 경제주체인 국민이 다시 평상으로 돌아가면 얼마든지 경기를 살릴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무엇보다 정부가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한다면 과잉 공포로 말미암은 경제의 과잉 위축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 대다수 전문가의 지적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르포] 일산호수공원·GTX·일자리 '3박자' 갖춘 고양장항지구, 대기수요 몰릴까?
  • '최강야구 시즌3' 중2 투수 유희관? 칼제구로 서울고 타선 묶어…미스터제로 장원삼 등판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중국이 공개한 푸바오 최근 영상, 알고보니 재탕?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오늘 의대 증원 후 첫 수능 모평...'N수생' 역대 최다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유튜브에 유저 다 뺏길라" …'방치형 게임'에 눈돌린 게임업계
  • 오늘의 상승종목

  • 06.04 09:4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077,000
    • +1.26%
    • 이더리움
    • 5,234,000
    • -0.96%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1.33%
    • 리플
    • 724
    • +0.42%
    • 솔라나
    • 230,100
    • +1.14%
    • 에이다
    • 639
    • +2.57%
    • 이오스
    • 1,116
    • +0.36%
    • 트론
    • 158
    • -1.86%
    • 스텔라루멘
    • 14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00
    • +1.49%
    • 체인링크
    • 24,490
    • -2.51%
    • 샌드박스
    • 636
    • +4.9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