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박원순 "확진 의사 1565명 접촉" VS 보건당국 "증상 경미"…정부ㆍ정치권 반응은?

입력 2015-06-05 09: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와 보건당국이 메르스 환자에 대한 초기 대응과 관련해 날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이는 지난 1일 35번째로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의사 A씨가 지난달 29일부터 의심 증상을 보였지만 30일과 31일 대형 행사장과 식당에 수차례 드나들며 불특정 다수와 접촉한 사실을 서울시가 확인, 발표했기 때문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 4일 긴급브리핑을 열고, "의사 A씨는 지난 달 30일 미열이 있었지만 그 날 병원 대강당에서 열린 심포지엄에 참석했고, 오후에는 양재동 L타워에서 1565명이 참석한 재건축 조합 총회에 참석했다“고 전했다.

이어 박 시장은 “(시는) 조합 총회 참석자 1565명의 명단을 일단 확보해 연락, 자발적 자택격리 조치를 요청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밖에도 박 시장은 지난 3일까지 중앙 정부로부터 이 의사에 대한 어떤 정보도 받지 못했다며 보건당국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는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고 있다. 실제로 복지부는 초기에는 의사의 증상이 경미했고, 참석했던 모임들의 성격상 시민들과 긴밀한 접촉이 이뤄지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판단해 대규모 격리 조치는 내리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복지부는 또 "35번(메르스 확진 의사) 환자는 초기에 증상이 경미했고, 모임 성격상 긴밀한 접촉이 아니었고, 대규모 인원에 대한 격리조치 등은 적절치 않다고 판단했다"며 "조합원 명단 확보 후 메르스 주의사항을 안내할 계획이었다"고 전했다.

복지부의 이 같은 해명은 결국 1500명이 넘는 집회 참가자들을 격리하기보다는 주의를 주는 선에서 그치려 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시와 복지부 간 신경전에 대해 정치권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우선, 청와대는 5일 박원순 서울시장의 전날 발표와 관련, "박 시장의 어제 밤 발표를 둘러싸고 관계된 사람들의 말이 다르다"며 "그래서 불안감과 혼란이 커지는 상황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는 "사실 관계가 서로 다른 이런 혼란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박원순 서울시장이 서울시민의 안전을 위해 직접 나서서 서울시 자체 방역대책을 마련하듯이 박근혜 대통령도 지금 나서서 중심을 잡고 진두지휘하는 모습을 보여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노란 카디건 또 품절됐대"…민희진부터 김호중까지 '블레임 룩'에 엇갈린 시선 [이슈크래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새로운 대남전단은 오물?…역대 삐라 살펴보니 [해시태그]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이의리 너마저"…토미 존에 우는 KIA, '디펜딩챔피언' LG 추격 뿌리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424,000
    • +0.96%
    • 이더리움
    • 5,271,000
    • -0.88%
    • 비트코인 캐시
    • 650,500
    • +0.85%
    • 리플
    • 722
    • -0.69%
    • 솔라나
    • 228,100
    • -1.47%
    • 에이다
    • 628
    • -0.63%
    • 이오스
    • 1,129
    • -0.96%
    • 트론
    • 158
    • -1.86%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100
    • -0.35%
    • 체인링크
    • 24,990
    • -3.06%
    • 샌드박스
    • 636
    • +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