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TIGER ETF, 연초 이후 순자산 1조원 증가

입력 2015-05-14 10: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4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ETF의 연초 이후 순자산이 1조원 넘게 증가하는 등 올 들어 국내 ETF운용사 중 가장 가파른 성장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TIGER원유선물ETF’가 2224억원 증가했고 급성장하는 중국소비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TIGER중국소비테마ETF’도 1138억원이 늘어나는 등 40여개의 미래에셋ETF가 순자산 증가를 보이며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펀드평가가 KG제로인에 따르면, TIGER ETF 순자산 총액은 4조 6537억원 규모로 ETF 개수는 총 55개다. 이 가운데 연초이후 증감액은 1조 201억원 늘어난 것. (기준일: 2015.5.14)

미래에셋은 한국, 미국, 중국, 일본 등 국내외 ETF의 지수형, 인버스, 레버리지 유형부터헬스케어, 커머디티, 생활소비재 등 섹터ETF까지 다양한 상품을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 구성 시 선택의 폭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장기 성과도 우수하다. 국내 ETF 전체의 3년 수익률 상위 10개 중 8개가 TIGER ETF다. 일상 생활과 밀접한 음료, 식료품, 가정생활용품 같은 생활소비재 관련 지수에 투자하는 ‘TIGER생활소비재 ETF’는 3년 수익률 98.09%로 가장 우수한 성과를 기록했다. 장기 트렌드인 고령화 관련 헬스케어 산업에 투자하는 ‘TIGER헬스케어’가 94.17%, ‘TIGER경기방어’가 79.44%를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해외법인이 운용하는 ETF를 포함한 순자산도 10조원을 넘겼다.

2006년 국내에 TIGER ETF 브랜드를 출시한 이후 활발하게 글로벌 진출에 나서 2011년에는 ETF 전문 운용사인 캐나다의 ‘호라이즌스 ETFs’와 호주의 ‘베타쉐어즈’를 인수 하는 등 현재는 6개국, 155개 ETF를 운용하는 글로벌 운용사로 성장했다.

또한 2013년에는 한국 자산운용사 최초로 뉴욕증권거래소에 ‘호라이즌스 S&P500 커버드콜 ETF’와 ‘S&P 금융섹터 커버드콜ETF’를 상장시켰고 KOSPI200을 활용한 ETF를 미국 및 홍콩에 설정하며 한국지수를 해외투자자들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윤주영 ETF운용 상무는 “TIGER ETF는 고객들의 폭 넒은 투자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글로벌 자산배분이 가능한 해외 투자 상품을 포함해 다양한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여 왔다”며 “앞으로도 경쟁력 있는 특색 상품을 선보여 낮은 비용으로 손쉬운 투자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약 600개 살포…서울·경기서 발견"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창어 6호’ 달 뒷면 착륙…‘세계 최초’ 토양 샘플 회수 눈앞
  • 의대 지방유학 '강원·호남·충청' 순으로 유리…수능 최저등급 변수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00,000
    • +0.16%
    • 이더리움
    • 5,325,000
    • +0.85%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1.33%
    • 리플
    • 725
    • +0%
    • 솔라나
    • 232,300
    • -0.81%
    • 에이다
    • 632
    • +0.96%
    • 이오스
    • 1,133
    • +0%
    • 트론
    • 157
    • +1.29%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50
    • -0.76%
    • 체인링크
    • 25,910
    • +1.33%
    • 샌드박스
    • 624
    • +3.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