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 톡!] ‘실질적 안전보건체계’ 구축해야

입력 2025-04-13 18: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아직 안전보건관리체계가 완전히 구축되지 않은 중소사업장에 방문하여 필요사항을 안내할 경우 사업장 담당자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이 있다. “왜 이렇게 작성할 게 많아요?”다. 실질적으로 안전보건업무에 인력을 투입할 여력이 없는 중소사업장 입장에서는 제공되는 양식 몇 장 정도만 형식적으로 구비해 놓기를 바라기도 하는데, 사실 중대재해처벌법의 입법취지에 비춰보면 이는 적절하지 않은 접근방식이라 할 수 있다.

위험성평가 실시 등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관련 의무를 사업장에서 이행할 경우 증빙이 필수적이며, 증빙 마련 작업은 결국 서류작성 업무로 이어진다. 이때 서류작성의 핵심은 실질적인 ‘이행’이 전제된 상태에서, 교육 및 회의 등 행위로 이루어진 무형의 이행내용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증명하기 위한 작업인 것이다. 하지만 많은 사업장에선 증빙의 전제인 ‘이행’이 사실상 부재된 상태에서 부차적 업무인 서류작성만 해놓고 있는 게 현실이다.

문제점은 중소기업의 투입가능 인력에서 비롯된다. 충분한 인력을 보유한 대기업이라면 안전보건업무에 전담할 인력을 확보 및 유지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5인 이상 50인 미만 기업의 경우에는 안전보건 업무 담당자를 채용한다고 하더라도 사실상 경영지원 등 다른 직무를 겸업하여 수행하게 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소사업장의 경우 이미 작성해두었던 안전보건 관련 절차서 및 양식 등이 사업장 규모에 적합한 것인지 전면검토하여 간소화할 수 있는 부분을 최대한 찾을 필요가 있겠다. 만약 기존 대기업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관련 서류를 참고하여 우리 사업장의 절차서 및 양식을 갖춰 두었다면, 우리 사업장에는 적용하지 않아도 되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개최 관련 자료,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선임에 관한 자료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불필요한 부분을 줄이고 필요한 부분만 간소화하여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 그래야 산더미 같은 서류작업에 밀려 가장 중요한 ‘이행’부분을 정작 빠트리게 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만약 어떤 부분을 간소화해야 할지 스스로 해결이 안되는 경우라면 각 관할 안전보건공단 광역본부에 무료컨설팅을 신청할 수 있다.

김진훈 노무법인 산하 공인노무사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바티칸 "전생을 주님·교회에 헌신"
  • 콜드플레이→BTS도 서울 떠난다…'고양'은 왜 스타들의 성지가 됐나 [이슈크래커]
  • “설레발은 필패, 입을 조심해야”…월드컵 역사를 수놓은 김칫국 한마당 [이슈크래커]
  • 음주운전자에게 "음주운전 왜 하세요?" 물어봤더니 [데이터클립]
  • 봉천동 아파트 방화 용의자는 과거 주민…층간소음 이웃 갈등 잦았다
  • 41년째 짜장라면 왕좌 ‘짜파게티’, 그 뒤엔 ‘커피 알갱이’ 기술 있었다[K-라면 신의 한수④]
  • 쏟아지는 중국산…한국行 급류 [무역전쟁 유탄, 반덤핑 쓰나미 上]
  • 서울 토허제 구역 내 입주권도 규제 대상…“준공 후 실거주 2년”
  • 오늘의 상승종목

  • 04.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080,000
    • +2.58%
    • 이더리움
    • 2,337,000
    • +2.46%
    • 비트코인 캐시
    • 487,600
    • +0.83%
    • 리플
    • 3,041
    • +2.39%
    • 솔라나
    • 199,900
    • +0.86%
    • 에이다
    • 920
    • +3.14%
    • 이오스
    • 930
    • +1.97%
    • 트론
    • 349
    • -1.97%
    • 스텔라루멘
    • 370
    • +5.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730
    • +1.29%
    • 체인링크
    • 19,290
    • +2.77%
    • 샌드박스
    • 403
    • +5.7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