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시장 불황에 서울 아파트 분양물량 10년래 최저

입력 2012-11-14 06: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1월 6438가구…서울 아파트값 하락 리만사태 후 최고

주택거래 시장의 불황 여파로 서울 아파트 분양물량이 지난 2003년 이후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가 2003년부터 2012년 현재까지 매년 서울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분양실적(일반분양 기준)을 집계한 결과 이달 2일 기준 분양실적은 31개 단지 6438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0년 만에 가장 적은 수치다.

또한 서울 아파트값 하락세는 2008년 리만사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아파트 분양실적은 2003년 2만3177가구로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많았다. 반면 공급실적이 가장 적었던 때는 2006년으로 6918가구가 일반분양 됐다. 최근 실적은 지난 2010년과 2011년 각각 1만1527가구와 1만1777가구로 1만가구를 넘게 공급했다.

그러나 올해 들어 물량이 크게 줄었다.

올해 1월 분양에 나선 곳이 단 한 곳도 없었다. 그나마 2월 들어 546가구가 공급됐다. 봄 성수기라고 할 수 있는 3월부터 여름 전인 6월까지 약 4개월 동안 4419가가구 분양되면서 올해 공급량의 68%가 나왔다.

하지만 여름 들어 물량이 다시 줄기 시작해 7월에는 서울숲 2차 푸르지오 31가구만 공급됐을 뿐이다. 8월 들어서도 위례신도시 송파 푸르지오에서 5백가구 이상이 나오면서 총 573가구가 공급됐을 뿐 실제 분양단지는 2곳에 불과했다.

가을 성수기라고 할 수 있는 9월에는 공급이 없었고 10월 들어 747가구가 분양됐다. 11월 현재는 신대림 신동아파밀리에와 상도엠코타운 센트럴파크 2개 단지에서 122가구가 공급됐다.

닥터아파트는 분양물량 감소 이유에 대해 올해 서울 아파트값 약세와 관계가 있다고 분석했다. 아파트 시장이 침체인 상황에서 공급을 해도 팔리지 않다보니 쉽게 공급할 수 없는 것이다.

또 건설사들은 대선과 비수기인 연말연시가 겹쳐 분양시기를 쉽게 결정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서울 아파트값은 연초와 비교 해 4.28% 떨어져 있는 상태다.

하락폭으로는 리만사태가 있었던 2008년(-1.79%) 이후 최고다. 취득세와 양도세 감면을 골자로 한 9·10대책에도 아파트값이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영호 닥터아파트 리서치연구소장은 “오는 26일 대통령 후보등록마감일을 전후로 올해 분양시장이 어느 정도 정리될 것이다. 후보등록마감 후 수요자들의 관심사가 대선으로 옮겨 갈테고 다음달 선거 후 연말연시로 접어들기 때문에 건설사에선 분양시기를 잡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항상 화가 나 있는 야구 팬들, 행복한 거 맞나요? [요즘, 이거]
  • 지난해 '폭염' 부른 엘니뇨 사라진다…그런데 온난화는 계속된다고? [이슈크래커]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장군의 아들' 박상민, 세 번째 음주운전 적발…면허 취소 수치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9·19 군사합의 전면 효력 정지...대북 방송 족쇄 풀려
  • 단독 금융위 ATS 판 깔자 한국거래소 인프라 구축 개시…거래정지 즉각 반영
  • KIA 임기영, 2년 만에 선발 등판…롯데는 '호랑이 사냥꾼' 윌커슨으로 맞불 [프로야구 4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214,000
    • +0.84%
    • 이더리움
    • 5,261,000
    • +0.02%
    • 비트코인 캐시
    • 657,000
    • +0.69%
    • 리플
    • 727
    • +0%
    • 솔라나
    • 233,400
    • +0.91%
    • 에이다
    • 639
    • +0%
    • 이오스
    • 1,120
    • -0.53%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600
    • +0.52%
    • 체인링크
    • 24,410
    • -0.89%
    • 샌드박스
    • 639
    • +0.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