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R&D 예산 조정 "효율 역점 두고 조정…내년 예산 때 증액"

입력 2024-01-15 15: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 반도체관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세 번째,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 반도체관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세 번째,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

대통령실이 15일 정부가 올해 예산안 편성 당시 R&D 예산을 삭감한 배경으로 "연구자들에게 관행적으로 나눠주기식으로 진행된 부분이 있었다. 효율적으로 역점에 두고 투자돼야 할 부분이 효과적으로 투자되지 못한 게 있다면 점검하자는 차원에서 조정이 있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연구·개발(R&D) 정부 예산 삭감 방침에 윤석열 대통령이 같은 날 오전 "어디에 투자해야 여러분이 마음껏 도전하고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지 많이 연구했다"며 "올해, 내년도 예산안을 짤 때 R&D 예산을 대폭 증액해 민생을 더 살찌우는 첨단 산업을 구축하겠다"고 약속한 이후 나온 배경 설명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이라는 주제로 경기 수원시 성균관대 반도체관에서 세 번째 민생토론회를 열고 "반도체 산업 종사자, 연구자들이 하는 일은 단순히 과학이 아니라 도전이다. (이는) 저의 도전이자 국가가 함께하는 도전"이라는 말과 함께 이같이 밝혔다.

반도체 산업 육성과 관련 윤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 "이러한 도전은 국가 간 연대와 협력의 정신이 갖춰져야 더 발전할 수 있다"고도 했다.

지난해 12월 네덜란드 국빈 방문 기간 극자외선(EUV) 노광장비 생산 기업인 ASML을 찾아 둘러본 일화에 대해 언급한 윤 대통령은 "(이곳은) 벨기에와 독일 등 60개국에 속한 협력업체와 일하기 때문에 '역시 개방주의와 국제주의라는 게 과학과 산업을 키우는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는 말도 전했다.

대통령실은 또 민생 토론회에서 눈여겨볼 대목으로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합동으로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방안' 발표에 나선 점을 소개했다.

김수경 대변인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최근 윤 대통령이 강조한 부처 간 벽 허물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는 말과 함께 이같은 내용에 대해 소개했다.

윤 대통령은 올해 신년사에서 강조한 '문제 해결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 실천 차원에서 부처 간 칸막이 제거를 언급한 바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와 올해 첫 주례회동을 가진 8일에도 "올해는 과제를 중심으로 부처 간 칸막이를 허물고, 협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인사교류, 예산지원 등 구체적 장치를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 대변인은 이종호·안덕근 장관이 윤 대통령 주재로 열린 세 번째 민생토론회 준비 과정에서 여러 차례 만나 '반도체 산업 육성' 차원의 부처 간 협업을 수시로 논의한 점도 소개했다.

이에 대해 김 대변인은 "반도체 육성은 R&D 뿐 아니라 상용화가 중요하기 때문에 결국 두 부처가 함께 나서야 한다는 데 뜻을 모으고 우리부터 부처 간 벽을 허물자고 의기투합했다는 후문"이라는 언급도 했다.

이 밖에 윤 대통령이 토론회 마무리 발언에서 반도체 산업 육성 선구자로 박정희 전 대통령과 삼성 창업주 고(故) 이병철 회장을 언급한 데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 생각한 부분을 말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241,000
    • +0.51%
    • 이더리움
    • 5,312,000
    • -0.69%
    • 비트코인 캐시
    • 642,500
    • -1.08%
    • 리플
    • 721
    • -0.83%
    • 솔라나
    • 228,700
    • -2.18%
    • 에이다
    • 625
    • -1.26%
    • 이오스
    • 1,121
    • -1.06%
    • 트론
    • 162
    • +2.53%
    • 스텔라루멘
    • 148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00
    • -0.35%
    • 체인링크
    • 25,500
    • -1.32%
    • 샌드박스
    • 612
    • -0.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