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갈등 심화에…올해 중국 내 미국인 유학생 350명에 불과

입력 2023-11-29 08: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국 내 반외국인 정서·권위주의적 통치 영향
미국, 중국 유학 금지 및 대만으로 프로그램 변경
미국 내 중국인 유학생은 29만 명…존재감 여전

▲15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에 미국과 중국 국기가 펄럭이고 있다. 베이징/EPA연합뉴스
▲15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에 미국과 중국 국기가 펄럭이고 있다. 베이징/EPA연합뉴스

미·중 갈등 심화가 중국에서의 미국 유학생 수 감소를 가속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주중 미국대사관에 따르면 2019년 1만1000여 명에 달했던 중국 내 미국인 유학생 수는 올해 350명으로 급감했다. 미국 국무부가 매년 실시하는 설문조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이전까지 미국 유학생들에게 중국은 서유럽을 제외하고 가장 인기 있는 국가였다.

유학생 급감 배경에는 중국 내 반(反)외국인 정서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권위주의적 통치 등이 있다. NYT는 “중국의 선전 매체는 미국을 위험한 범죄가 만연한 곳으로 묘사하고 있다”면서 “미국 도착 시 비자를 거부당하거나 국경 심문 강도가 높아졌다는 보고가 잇따르면서 중국인들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미국 정부가 자국 학생들의 중국 유학을 금지하고 일부 언어 학습 프로그램을 대만으로 옮기면서 중국으로 향하는 학생들이 줄었다”고 전했다.

반면 미국 내 중국인 유학생 수는 2022~2023학년도에 약 29만 명에 달할 정도로 여전히 강력한 존재감을 드러냈다. 올해에도 9만4000명의 중국인이 미국 유학비자를 받았다. 이는 지난해보다 2만8000명 늘어난 수치다.

다만 미국의 일부 정치인들이 중국인 유학생의 입국 금지 확대를 제안하면서 상황은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여론조사에서도 미국인 과반이 중국인 유학생 제한을 지지했다.

미국 듀크대와 중국 우한대가 공동으로 설립한 듀크 쿤산대에서 부총장을 지낸 데니스 사이먼은 “양국 간 갈등이 학문 분야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서로 이해하는 기회를 박탈한다는 점에서 특히 유학생의 감소는 양국 관계에 타격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950,000
    • +1.08%
    • 이더리움
    • 5,211,000
    • -0.82%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0.31%
    • 리플
    • 723
    • -0.82%
    • 솔라나
    • 232,700
    • -0.81%
    • 에이다
    • 622
    • -1.11%
    • 이오스
    • 1,128
    • +0.45%
    • 트론
    • 156
    • +0%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450
    • -0.17%
    • 체인링크
    • 24,890
    • -3.34%
    • 샌드박스
    • 613
    • -0.9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