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출자구조 재편으로 ‘기업가치’·‘주주가치’ 높인다

입력 2018-03-28 16: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자구조 재편 따른 실적 개선이 주주환원으로 이어지는 구조 만들 것”

현대자동차그룹이 28일 발표한 출자구조 재편으로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 기아자동차 등 해당 기업들의 기업가치 및 주주가치가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사업구조 개편을 통해 확보한 성장성과 안정성을 바탕으로 각각의 사업 영역에서 전문성을 한층 강화할 경우 기업의 미래 경쟁력 자체가 한 단계 높아진다는 분석이다. 순환출자 해소, 대주주 책임 및 투명경영 강화가 주요 내용인 지배구조 개편도 그 동안 저평가됐던 기업가치와 주주가치에 대한 시장의 긍정적인 평가를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 현대모비스, 현대차그룹 내 ‘미래기술 리더’로 자리매김 미래차 기술 확보에 주력 = 28일 현대모비스는 “분할합병 이후에도 지난 2월에 발표한 잉여현금흐름(FCF) 20~40% 수준의 배당정책을 지속 추진한다”고 밝혔다. 향후 실적에 대한 자신감과 그룹사 성장에 따른 동반성장 기대감과 함께 주주친화 정책에 대한 의지를 다시 한번 강조한 것이다.

현대모비스 기존 주주의 경우 이번 분할합병으로 주식 1주당 현대글로비스 신주 0.61주를 추가로 배정 받는 만큼, 두 회사로부터 안정적인 배당 소득이 가능해진다. 분할합병 이후 현대모비스는 대주주의 책임 및 투명경영 아래 그룹 내 리더십을 발휘하는 등 위상 자체가 달라진다. 보다 빠른 의사결정은 물론 지배구조 안정화에 따른 긍정적 효과도 기대된다.

현대모비스는 미래 자동차 핵심부품 원천기술에 대한 개발역량을 제고하고,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ABS, 에어백 등 주요 부품의 매출처 확대를 위해서도 노력할 계획이다. 글로벌 자동차 부품 시장은 최근 자율주행차, 커넥티드카 등으로 대표되는 미래차의 핵심 기술을 누가 먼저 확보하느냐를 놓고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미래 핵심 기술 확보 차원의 투자 및 인수·합병(M&A), 타 완성차 납품을 위한 투자 및 조인트벤처(JV) 설립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핵심부품 사업에 대한 집중도 역시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현대모비스는 미래 기술 투자 전략과 연계한 공유가치창출(CSV) 플랫폼을 구축, 그룹 차원의 지속 가능한 상생 형 사회공헌 모델을 선도적으로 구현해 나갈 예정이다. 국내 스타트업 발굴 및 지원, 이노베이션센터 운영을 통한 혁신적 아이디어 발굴 및 청년창업 지원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현대글로비스, 주주친화 정책 지속…수익성 및 사업 확장성 증대 = 이날 현대글로비스도 분할합병 이후 안정적인 실적을 바탕으로 한 주주친화적 배당정책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에도 현대글로비스는 사외이사 1명을 주주들로부터 직접 추천 받아 선임하는 등 주주권익 확대와 경영 투명성 강화 노력을 지속 중이다.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는 “대주주 지분 매각에 따른 주주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주주권익 보호와 소통 강화, 실질적인 주주가치 제고 등의 주주 친화 방안을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마련하고 실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합병 현대글로비스는 당장 외형 확대와 수익성 개선으로 경쟁력이 한층 강화된다. 물류와 모듈사업 부분이 통합됨에 따라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서플라이 체인(공급망)의 효율성 제고 등의 시너지도 예상된다. 개별 부품 제작과 최종적으로 완성차를 제조하는 것을 제외한 조달물류, 운송 등 중간 단계의 사업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안정적인 사업 편입으로 미래 투자 재원 확충이 가능하며, 물류 네트워크, AS부품 및 중고차 대 고객 접점 등 핵심 역량을 활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등 미래 자동차 관련 서비스 사업 강화도 기대된다.

◇ 기아차, 유동성 확충…현대글로비스와 사업 시너지 창출 = 기아자동차는 미래 기술 확보를 위한 투자 확대가 예상되는 현대모비스 지분 대신, 완성차 지원과 서비스 분야에서의 성장성이 기대되는 현대글로비스의 지분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자산 유동성이 부족한 기아차로선 유동성이 풍부하고 안정적인 후방사업을 영위하는 현대글로비스 지분을 취득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기아차가 보유한 현대모비스 지분의 경우 그룹 경영권 핵심 지분으로 사실상 유동화 자체가 불가능했다.

아울러 현대글로비스로부터 꾸준한 배당 수입도 예상된다. △물류와 AS부품 등 완성차 지원 사업과 △모빌리티 서비스 등 미래차 서비스 사업 확대를 추진하는 현대글로비스의 주요 주주로서 적극적인 사업 시너지 창출도 가능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이번 출자구조 재편으로 해당 기업들의 사업 역량이 한층 강화되고 주주 친화 정책이 보다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며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실적 개선이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주주 환원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음반 밀어내기 권유 사실…하이브에 화해 제안했다"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675,000
    • -0.29%
    • 이더리움
    • 5,299,000
    • +1.83%
    • 비트코인 캐시
    • 642,000
    • -1%
    • 리플
    • 727
    • +0.41%
    • 솔라나
    • 233,700
    • +0.52%
    • 에이다
    • 627
    • +0.32%
    • 이오스
    • 1,127
    • -0.35%
    • 트론
    • 157
    • +0.64%
    • 스텔라루멘
    • 150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950
    • -0.64%
    • 체인링크
    • 25,800
    • +3.82%
    • 샌드박스
    • 606
    • +0.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