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쩐'(錢)에 발목 잡힌 롯데

입력 2014-08-19 11: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제2롯데월드 추가비용만 600억…수원 롯데몰ㆍ부산 대형마트도 상인 요구액 수백억원

롯데그룹이 제2롯데월드를 비롯해 쇼핑몰, 대형할인점 등 임박한 사업장 개장에 필요한 수천억원이 넘는 추가 부담금 때문에 골머리를 썩이고 있다. 대부분 건축물의 안전 보완대책이나 주변 상인과의 갈등이 표면적인 이유지만, 이면에는 돈 문제가 걸려 있다는 게 업계 안팎의 시각이다.

가장 핵심적인 현안은 제2롯데월드 저층부의 임시사용승인 관련 비용이다. 롯데그룹은 최근 제2롯데월드 저층부 3개 동의 임시사용 승인과 관련한 교통·안전 보완대책을 서울시에 제출했다. 롯데는 올림픽 대로 하부도로 잠실주공5단지에서 장미아파트 뒷길까지 1.12㎞ 미연결구간 공사와 관련, 서울시의 요구를 대부분 받아들이기로 했다. 그러나 전 구간 지하화는 추후 논의를 제안하며 공사비를 680억원 수준으로 책정했다. 이는 2009년 기본계획 수립 당시 예상된 480억원보다 200억원 늘어난 액수다.

하지만 서울시는 1.12km 전 구간의 지하화를 고수하며 1100억원의 사업비를 롯데 측에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시의 뜻을 받아들여 롯데가 1100억원을 투자할 경우 기존 계획보다 600억원 가량이 추가 투입된다. 이 경우 롯데는 잠실 일대 교통환경 개선에만 기존 투자 비용 4700억원을 훌쩍 뛰어넘는 5100억원 가량의 막대한 비용을 지출하게 된다.

롯데는 제2롯데월드 사업비로 3조5000억원을 책정했다. 통상 주변 인프라 구축 비용이 건설 사업비의 5% 내외를 차지하는 것과 비교할 때 롯데는 이보다 3배가량 높은 15%의 비용을 투자하는 셈이다.

개점을 코앞에 둔 수원 롯데몰도 전통시장 상인들의 반발이 거세지면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수원지역 22개 전통시장 상인들로 구성된 수원시상인연합회는 롯데 측이 납득할 만한 보상책을 내놓고 있지 않다며 항의 집회를 여는 등 반발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업계와 전통시장 등에 따르면 롯데는 현금 50억원과 시장 활성화 및 경쟁력 강화 컨설팅 비용 87억여원 등 총 137억여원의 상생 지원금을 상인회에 제안했다. 반면, 상인회는 현금 지원 비용만 300억~500억원 가량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일 확장 개점해 본격 영업에 들어갈 계획이었던 롯데마트 부산 광복점도 전통시장 2곳과 상생협약이 마무리되지 않아 진통을 겪고 있다. 롯데마트 측은 지난해부터 주변 전통시장 17곳과 상생협약을 맺고 매장 오픈을 앞두고 있었지만, 인근 건어물시장과 부평깡통시장 상인들의 반발로 난관에 부딪혔다. 보상금액과 상생방안에 대해 양측간의 입장 차이가 워낙 커 아직 합의점을 찾지 못한 상태다.

롯데 관계자는 “예상치 못한 수천억원의 추가 비용 때문에 사업 일정에 상당한 차질을 빚고 있다”며 “추석 전까지 주변 상인들과의 협상에 성실히 임해 해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지만, 요구 액수가 과도해 고민이 깊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소송’…상고심 쟁점은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320,000
    • +0.83%
    • 이더리움
    • 5,346,000
    • +1.42%
    • 비트코인 캐시
    • 682,000
    • +3.33%
    • 리플
    • 728
    • +0.14%
    • 솔라나
    • 240,000
    • +1.31%
    • 에이다
    • 639
    • +0.16%
    • 이오스
    • 1,118
    • -0.36%
    • 트론
    • 159
    • +0%
    • 스텔라루멘
    • 14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300
    • +1.85%
    • 체인링크
    • 24,590
    • +0.24%
    • 샌드박스
    • 653
    • +2.3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