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인증서 발급 더 어려워진다고?… 폐지론 ‘고개’

입력 2014-02-25 10: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가뜩이나 어려운 공인인증서 발급 절차가 더 까다로워진다는 소식에 ‘공인인증서 폐지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23일 해킹으로 인한 공인인증서 재발급을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인증서 재발급 시 신원확인을 대폭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전자서명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을 입법예고 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공인인증서 보안을 강화 대신, 이를 대체 및 공존할 수 있는 다양한 인증 기법을 도입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공인인증서는 발급과 사용이 대단히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해킹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사실 공인인증서 그 자체는 보안성이 가장 높은 인증수단으로 꼽힌다. 그럼에도 공인인증서가 해킹에 취약한 원인으로 ‘엑티브X’가 지목된다. 엑티브X는 국내시장 점유율 약 80%을 차지하는 MS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E)’에서 특정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플러그인을 지칭한다.

문제는 엑티브엑스에 지나치게 익숙해진 사람들이 악성코드가 심어진 엑티브X도 별다른 의심 없이 설치한다는 점이다. 즉 그 자체로는 높은 보안성을 가지는 공인인증서가 무분별한 엑티브X 사용으로 인해 사용법은 복잡하고, 해킹에는 취약한 애물단지로 전락해 버린 것.

이에 한국벤처협회 이민화 명예회장은 다양한 인증수단을 전자결제에 도입하는 게 정답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MS 조차도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엑티브X를 통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고 있다”며 “엑티브X 사용을 줄이기 위해 엑티브X를 이용하지 않고도 쓸 수 있는 다양한 인증수단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대안으로 ‘SSL(암호화통신)+OPT(일회용비밀번호생성기)’ 방식이나, 사이트에 카드정보를 한 번만 등록하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만으로 결제를 할 수 있는 ‘페이게이트’의 구축을 내세웠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의견도 있다. 미국, 유럽 등지에 있는 많은 대기업들이 페이게이트 및 SSL+OPT 방식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들 역시 해킹으로 골치를 앓고 있어서다. 대신 이들 국가들은 해킹 발생 시 기업이 문 닫을 수준의 강한 제재안과 함께 이른 바 ‘해킹보험’을 통한 보상 수단이 마련돼 있다.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임종인 교수는 “공인인증서 재발급 기준 강화 법안은 고육지책”이라고 지적하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등을 통해 정부 주도로 공인인증서·SSL+OPT·페이게이트 등의 방식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기술을 개발해야한다”고 충고했다.

또 “해킹보험 제도를 도입해 사고 발생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사고가 일어난 업체를 강력하게 제재할 수 있는 법안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르포] 일산호수공원·GTX·일자리 '3박자' 갖춘 고양장항지구, 대기수요 몰릴까?
  • '최강야구 시즌3' 중2 투수 유희관? 칼제구로 서울고 타선 묶어…미스터제로 장원삼 등판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중국이 공개한 푸바오 최근 영상, 알고보니 재탕?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오늘 의대 증원 후 첫 수능 모평...'N수생' 역대 최다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유튜브에 유저 다 뺏길라" …'방치형 게임'에 눈돌린 게임업계
  • 오늘의 상승종목

  • 06.04 10:1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181,000
    • +0.84%
    • 이더리움
    • 5,239,000
    • -1.23%
    • 비트코인 캐시
    • 646,500
    • +0.23%
    • 리플
    • 724
    • +0.28%
    • 솔라나
    • 230,100
    • +0.44%
    • 에이다
    • 639
    • +1.75%
    • 이오스
    • 1,115
    • -0.89%
    • 트론
    • 159
    • -1.24%
    • 스텔라루멘
    • 14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600
    • +1.24%
    • 체인링크
    • 24,450
    • -3.7%
    • 샌드박스
    • 630
    • +3.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