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장전포인트]뉴욕증시 하락마감…코스피, 단기 저점 테스트 전망

입력 2013-12-03 08: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경제지표 호조에도 최근 상승에 따른 관망 분위기가 퍼져 하락세로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보다 77.64포인트(0.48%) 내린 16008.77에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4.91포인트(0.27%) 낮은 1800.90을, 나스닥종합지수는 14.63포인트(0.36%) 빠진 4045.26을 각각 기록했다.

이날 뉴욕증시가 하락한 것은 최근 8주째 이어진 상승세에 대한 부담 때문이다. 아울러 추수감사절 연휴 소매실적이 저조한 것도 악재로 작용했다.

블룸버그는 전문분석기관 쇼퍼트랙의 집계를 인용해 이번 추수감사절 당일과 블랙 프라이데이(추수감사절 다음날)의 오프라인 매출이 전년보다 불과 2.3% 증가한 123억달러에 그쳤다고 전했다. 이는 지난 2009년 이후 가장 저조한 것이다.

또 전미소매연맹(NRF)에 따르면 올해 추수감사절부터 지난 일요일까지 나흘 동안 소비자들의 지출은 574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 감소했다. 소비자들의 평균 지출액은 407.02 달러로 1년 전보다 4% 떨어졌다.

전일 국내 증시는 약보합 마감했다.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판매실적이 다소 부진하게 나타난 것이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투신권을 중심으로 한 기관의 순매도가 지수하락을 견인했다. 대부분의 업종이 약세를 보인 가운데 운수창고, 의료정밀, 전기전자, 건설, 기계는 1% 이상 하락했다. 반면 철강금속과 금융은 상대적인 강세를 나타냈다.

3일 코스피는 해외 증시 하락 영향으로 관망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야간 선물은 -0.95pt 하락한 267.35pt로 마감했다. 다만 미국 연말특수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소매협회(NFR)에 따르면 추수감사절 연휴기간 판매량은 지난해 대비 감소해 소비시즌에 대한 기대를 약화시켰지만, 연말까지 이어지는 소비시즌 전체적으로는 전년대비 3.9%의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기 때문이다. 유진투자증권은 “미국 연말특수에 대한 기대감은 유효하며, IT 및 일부 의류 수출주에 대한 관심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단기적으로는 코스피가 단기 저점(2000선)에 대한 지지 신뢰가 쌓인 상황으로 조정시 매수 전략을 취해야 분석이다. 한화투자증권 김기혁 연구원은 “미국 주요 경제지표 및 글로벌 주요국 경기 판단 지표를 확인하려는 관망세로 코스피는 당분간 박스권(2000~2060) 흐름을 지속할 것”이라며 “그러나 코스피의 단기 저점 지지에 대한 신뢰가 크다. 조정 시 반도체, 화학, 조선, 보험, 은행 업종 위주로 매수 전략을 취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노란 카디건 또 품절됐대"…민희진부터 김호중까지 '블레임 룩'에 엇갈린 시선 [이슈크래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새로운 대남전단은 오물?…역대 삐라 살펴보니 [해시태그]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이의리 너마저"…토미 존에 우는 KIA, '디펜딩챔피언' LG 추격 뿌리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046,000
    • +1.8%
    • 이더리움
    • 5,318,000
    • +0.08%
    • 비트코인 캐시
    • 652,500
    • +1.01%
    • 리플
    • 725
    • +0.14%
    • 솔라나
    • 231,100
    • -0.3%
    • 에이다
    • 632
    • +0%
    • 이오스
    • 1,133
    • -0.18%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600
    • +0.41%
    • 체인링크
    • 25,140
    • -2.63%
    • 샌드박스
    • 641
    • +2.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