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세계에너지총회]로열 더치쉘 회장 "한국, 글로벌 에너지시장서 중요한 역할할 것"

입력 2013-10-15 15: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아시아 에너지수요 50년간 2배 성장 전망

▲피터 보저 로열 더치쉘 회장이 15일 대구세계에너지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대구세계에너지총회 조직위원회)
"한국은 글로벌 가스산업에서 중요한 플레이어로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할 준비가 돼 있다."

글로벌 에너지기업인 로열 더치쉘(Royal Dutch Shell)의 피터 보저(Peter Voser) 회장이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한국의 역할에 대해 거듭 강조했다.

보저 회장은 15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2013대구세계에너지총회’ 기조연설에서 "아시아의 에너지 수요는 향후 50년간 두 배 이상 늘어날 수 있으며 아시아 신흥국들의 ‘산업화’는 한국이 중요한 플레이어가 되는 데 유리한 위치에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은 글로벌 가스 산업에서 중요한 플레이어로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할 준비가 돼 있다"며 "실제 한국의 유명 조선소들은 아시아 경제 성장을 촉진할 가스를 수송할 선박을 만들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급속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는 아시아 지역에 대해선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속도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며 "일례로 중국 경제는 영국의 산업혁명 시기 발전 속도의 10배, 발전 규모의 100배에 달하는 정도로 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보저 회장은 "전 세계 수백만명이 빈곤에서 벗어나고 있고 이로 인해 글로벌 에너지 시스템이 변화하고 있다"며 "20년 후 글로벌 에너지 수요의 대부분은 중국과 인도에서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보저 회장은 향후 불어닥칠 에너지 문제 해결을 위해 크게 세 가지 단계를 제시했다. 그는 "첫째로 성장하는 도시를 위한 전략적 계획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서울이 보여준 지난 10년간 도시 개발에 대한 접근법의 사례가 대표적"이라고 한국을 예로 들었다.

이어 "둘째론 오는 2060년 아시아 화석연료를 통한 에너지 공급이 85%에서 65%로 감소한다고 해도 세계는 에너지 보급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며 "천연가스가 아시아 일부 도시들의 오염 위기를 다루는 데 일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쉘은 인팩스(Inpex), 한국가스공사와 함께 합작사를 설립, 프릴류드 FLNG(the Prelude FLNG facility) 시설을 건조하고 있다. 호주에서 완공되면 이 시설은 지금껏 건조된 시설 중 최대 규모의 해양 설비가 될 전망이다.

보저 회장은 "무엇보다 각국 정부가 정책적인 접근을 추진해야 한다"며 "각국이 역내 도시오염 위기를 해결하고 새로운 에너지 자원에 투자하고 이에 대한 공급 투자에 걸림돌이 되는 화석연료 보조금 문제를 다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밀양 사건' 피해자 "함께 분노해주셔서 감사…반짝하고 끝나지 않길"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리더 ‘정용진’의 신세계, 어떻게 바뀌었나 [정용진號 출범 100일]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美 출장 성과에 “열심히 해야죠”
  • 18일 동네병원도, 대학병원도 '셧다운'?…집단 휴진에 환자들 가슴만 멍든다 [이슈크래커]
  • 15만 원 저축하면 30만 원을 돌려준다고?…‘희망두배청년통장’ [십분청년백서]
  • SM, '매출 10% 못 주겠다'는 첸백시에 계약 이행 소송…"법과 원칙대로"
  • 주식 공매도, ’전산시스템’ 구축 후 내년 3월 31일 재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460,000
    • -0.17%
    • 이더리움
    • 4,923,000
    • -1.34%
    • 비트코인 캐시
    • 625,500
    • -0.87%
    • 리플
    • 684
    • +0.29%
    • 솔라나
    • 211,000
    • -1.49%
    • 에이다
    • 605
    • +0.67%
    • 이오스
    • 967
    • -1.02%
    • 트론
    • 163
    • -1.21%
    • 스텔라루멘
    • 140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3,050
    • +1.04%
    • 체인링크
    • 21,580
    • +0.42%
    • 샌드박스
    • 562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