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미분양 2개월 연속 증가

입력 2012-07-23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국 미분양 주택수가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하지만 수도권 미분양은 2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여전히 적체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6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을 조사한 결과, 총 6만2288가구로 전월(6만2325가구) 대비 37가구 줄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전달(5월) 소폭 증가한 이후 한달만에 다시 감소세로 전환한 것이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경기 -532가구, 서울 -125가구, 인천 -87가구 등으로 기존 미분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경기 이천·오산, 인천 연수구 지역에서 신규 미분양(765가구)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수도권 총 미분양 수는 전월(2만6595가구) 대비 334가구 증가한 2만6929가구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4월(2만6115가구) 이후 2개월 연속 증가한 것이다.

반면, 지방은 강원 충남 부산 대구 등 일부 지역의 신규 미분양(1780가구) 발생에도 기존 미분양이 감소하면서 전월(3만5730가구) 대비 371가구 감소한 3만5359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 소폭 증가한 이후 다시 감소세로 반전된 것이다.

규모별로 보면 85㎡ 초과 중대형은 3만2909가구(수도권 1만6766가구, 지방 1만6143가구)로 전월(3만3837가구) 대비 928가구(수도권 -15가구, 지방 -913가구) 감소했다. 이에 반해 85㎡ 이하는 2만9379가구(수도권 1만163가구, 지방 1만9216가구)로 전월(2만8488가구) 대비 891가구 증가(수도권 349가구, 지방 542가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후 미분양’ 주택은 총 2만6610가구(수도권 1만148가구, 지방 1만6462가구)로 집계돼 전월(2만7186가구) 보다 576가구(수도권 250가구, 지방 -826가구) 감소했다. 이는 지난 1월(3만1739가구) 이후 5개월 연속 감소한 것이다.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은 국토해양부 국토해양통계누리(http://stat.mltm.go.kr) 및 온나라 부동산포털(http://www.onnar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약 600개 살포…서울·경기서 발견"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창어 6호’ 달 뒷면 착륙…‘세계 최초’ 토양 샘플 회수 눈앞
  • 의대 지방유학 '강원·호남·충청' 순으로 유리…수능 최저등급 변수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791,000
    • +0.19%
    • 이더리움
    • 5,328,000
    • +0.85%
    • 비트코인 캐시
    • 648,500
    • +1.33%
    • 리플
    • 726
    • +0.14%
    • 솔라나
    • 232,200
    • -0.6%
    • 에이다
    • 633
    • +0.96%
    • 이오스
    • 1,138
    • +0.35%
    • 트론
    • 158
    • +1.94%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50
    • -1.04%
    • 체인링크
    • 25,680
    • +0.08%
    • 샌드박스
    • 626
    • +3.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