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존 위기 끝났다] ② 길었던 악몽...유로존 미래는?

입력 2012-03-02 10: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범 13년째를 맞는 유로존을 둘러싼 먹구름이 서서히 걷히고 있다.

2년 전 그리스에서 시작된 재정위기가 남유럽 중채무 5국을 가리키는 PIIGS(포르투갈 이탈리아 아일랜드 그리스 스페인)로 번지며 유로존 붕괴 위험을 낳았다.

이는 유럽연합(EU) 27개 회원국은 물론 전세계를 뒤흔들었다.

전문가들은 유로존이 재정동맹을 배제한 통화동맹이라는 태생적인 한계에서 시급히 벗어나야 한다고 지적한다.

독일과 프랑스 등을 중심으로 1999년 유럽경제통화동맹(EMU)이 출범하고 단일통화 명칭 합의를 통해 유로는 탄생했다.

그러나 각국의 재정정책이 다른데다 통합 감독기구가 없다는 것이 맹점이었다.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독일과 프랑스 자금이 금리가 높은 그리스를 비롯한 남유럽으로 쏠리면서 자산 거품이 형성됐다.

결국 그리스를 중심으로 포르투갈과 스페인 등 재정이 악화한 국가들이 위기에 빠지면서 유로존 전체가 흔들리기 시작했다.

지난 2001년 유로존에 가입한 그리스는 3400억유로 규모의 부채를 이기지 못하고 2010년 EU에 구제금융을 요청해 1차로 1100억달러를 지원받았다.

아일랜드는 지난 2010년 850억유로를, 포르투갈은 지난해 구제금융을 받았다.

EU는 사태 해결을 위해 유럽재정안정기금(EFSF)과 유로안정화기구(ESM)를 설립하는 등 사태 해결을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유럽중앙은행(ECB) 역시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인 1%로 낮추면서 사태 진화에 나섰다.

ECB는 작년 12월 1차 3년 만기 장기 대출(LTRO)을 실행, 지난달 29일 2차 LTRO를 실시해 역내 은행들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있다.

EU는 ‘신 재정협약’을 통해 더욱 강화된 재정통합을 이루고 유로존 17국과 EU 25국의 재정 감독 강화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 통해 일단은 더욱 견고한 시스템을 갖출 수 있게 됐지만 회원국들이 적극 협조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그리스에서 긴축과 관련 대규모 파업이 지속되는 등 불안이 이어지면 결국 재정적자 감축을 위한 긴축이 요원해지고 있는 다시 유로존 붕괴라는 악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투자은행업계는 유로존 붕괴에 대비한 환 혜징 상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비롯한 주요 외신에 따르면 씨티그룹을 중심으로 주요 투자은행들은 이와 관련 이미 모임을 가졌다.

이들은 유로존에서 회원국이 이탈해 새로운 통화가 도입되면 해당 통화의 가치를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CEO)들 역시 유로존 붕괴에 대비한 경영전략을 마련하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하이브에 화해 시그널 보냈다…"뉴진스 위해 타협점 찾자"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정용진 부부 데이트 현장 포착한 '밥이나 한잔해'…식당은 어디?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060,000
    • +0.68%
    • 이더리움
    • 5,270,000
    • +1.42%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0.15%
    • 리플
    • 726
    • +0.28%
    • 솔라나
    • 233,500
    • +0.78%
    • 에이다
    • 627
    • -0.16%
    • 이오스
    • 1,134
    • +2.25%
    • 트론
    • 156
    • +0.65%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400
    • +0.52%
    • 체인링크
    • 24,910
    • -1.89%
    • 샌드박스
    • 604
    • -0.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