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니냐 온다”…농산물·천연가스 투자 기지개

입력 2024-05-20 16: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두·옥수수·밀 ETF 부진 탈피
천연가스 ETN 수익률 高행진
“원자재 레짐 체인지 베팅해야”

올해 하반기 라니냐 현상이 발생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리며 농산물과 천연가스 관련 투자상품 수익률이 기지개를 켜고 있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22일부터 이날까지 KODEX 3대농산물선물(H) 상장지수펀드(ETF)는 8.05% 상승했다. TIGER 농산물선물Enhanced(H), KODEX 콩선물(H) ETF도 각각 6.05%, 5.89% 올랐다.

천연가스 상장지수증권(ETN)은 전체 ETN 중 수익률 상위권을 싹쓸이했다. 같은 기간 메리츠 블룸버그 2X 천연가스 선물(H) B는 60.06% 급등했다. QV 블룸버그 2X 천연가스 선물(H)(58.82%), 대신 S&P 2X 천연가스 선물 B(58.24%), KB 블룸버그 레버리지 천연가스 선물(57.36%) 등도 치솟았다.

올해 들어 대두, 옥수수, 밀 등 농산물 가격은 엘니뇨 현상으로 부진한 흐름을 나타내며 ‘에브리싱 랠리’에서 소외된 바 있다. 최근 라니냐 전망이 나오며 관련 파생상품도 바닥을 찍고 상승세를 타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 기후예측센터(CPC/IRI)는 라니냐 발생 시점을 기존 10~12월에서 6~8월로 당겼다.

통상 라니냐가 생기면 북미에는 강추위를, 남미에는 가뭄을 각각 유발하며 국제 곡물 가격을 밀어 올린다. 이는 관련 파생상품 투자자들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다만 곡물 가격이 치솟아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애그플레이션(agflation)’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천연가스는 라니냐 현상의 최대 수혜 원자재로 꼽힌다. 국제 천연가스 가격은 난방 수요가 큰 연말부터 이듬해 초까지 오르다 엘니뇨가 확산하며 하락 폭을 키웠던 바 있다. 이런 상황은 인공지능(AI) 열풍으로 반전됐다.

AI 훈풍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이 예상되자 주요 에너지원인 천연가스 가격은 상승 동력을 받았다. 이에 더해 라니냐 도래에 따른 북반구 한파 관측에 난방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점쳐지며, 천연가스 가격은 오를 여력이 더 있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최진영 대신증권 연구원은 “연말로 갈수록 본격화될 라니냐는 원자재로의 ‘레짐 체인지’를 촉진할 것”이라며 “엘니뇨 시에는 코코아, 원당, 커피 등으로 구성된 소프트 섹터가 강하지만, 라니냐 시에는 원자재 펀드 내 가중치가 가장 큰 곡물, 에너지, 산업금속 섹터가 강해져 그 변화에 베팅할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HBM이 낳은 참극...삼성전자·SK하이닉스 동조화 깨졌다 [디커플링 두 회사 ②]
  • 높아지는 日정부 압박 수위…라인야후, 네이버 색깔 빼기 본격화
  • 대북 확성기 설치 언제부터?…북, 오물 풍선 대응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제네바 모터쇼…폐지되는 5가지 이유
  • 황선우, 마레 노스트럼 자유형 200m 금빛 물결…대회 2관왕 달성
  • "김호중 천재적 재능이 아깝다"…KBS에 청원 올린 팬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09:2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966,000
    • +0.2%
    • 이더리움
    • 5,289,000
    • -0.96%
    • 비트코인 캐시
    • 641,500
    • -1.23%
    • 리플
    • 721
    • -0.69%
    • 솔라나
    • 228,100
    • -1.98%
    • 에이다
    • 625
    • -0.95%
    • 이오스
    • 1,116
    • -1.67%
    • 트론
    • 162
    • +3.18%
    • 스텔라루멘
    • 147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700
    • -0.88%
    • 체인링크
    • 25,260
    • -1.71%
    • 샌드박스
    • 608
    • -0.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