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르노닛산 사례, 추후 지분 매각 압박이 다시 이어질 수 있어
일본 총무장관 "지배적 자본 관계도 포함해 과제가 있다" 발언
라인야후 지분 갈등 사태가 잠시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라인 운영사 라인야후가 7월 일본 정부에 제출할 행정지도 조치 보고서에 자본 관계 재검토가 들어가지 않을 전망이기 때문이다. 다만 과거 르노 닛산 사례 등에서 일본이 개별 기업 경영에 개입을 했던 만큼 추후 지분 매각 압박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6일 공정과 정의를 위한 IT시민연대는 “라인야후가 7월 1일까지 일본 정부에 제출해야 하는 행정지도 조치보고서에 지분 매각은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는 대통령실의 발언은 의미 있는 진전”이라면서도 “일본 정부가 행정지도 내용 중 ‘자본 관계 개선’이라는 표현의 철회를 요구해야 한다”며 추가 성명을 발표했다. 지분관계 개선이라는 조치가 철회되지 않는다면 네이버가 7월 1일을 넘어, 소프트뱅크와 지분 협상을 하더라도 결정적으로 네이버에 불리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앞서 라인야후 지분 갈등에 대한 우리나라 대통령실과 일본 총무성의 온도 차가 있었다. 14일 대통령실은 “라인야후가 7월 1일까지 일본 정부에 제출할 행정지도 답변서에 네이버의 지분 매각이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며 일단락을 암시했다. 반면 같은 날 마쓰모토 다케아키 일본 총무장관은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체제를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라면서도 “지배적 자본 관계도 포함해 과제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표면적으로는 이번 사태가 일단락된 것 처럼 보이지만, 적정한 결론이 나기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릴 거란 관측이 나온다. 미야카와 준이치 소프트뱅크 최고경영자(CEO)도 “네이버와 협상은 오래 걸릴지도 모른다”고 밝힌 바 있다. 네이버는 “회사에 가장 좋은 결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지분 매각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고 소프트뱅크와 성실히 협의해 나가고 있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라인야후에 대한 셈법이 복잡하기 때문이다. 네이버는 ‘라인’이라는 브랜드로 해외 주요 서비스들을 연결하고 있다. 웹툰 서비스 ‘라인망가’와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 등에도 라인야후 지분이 일부 포함돼 있다. 또 라인 플랫폼에는 AI 기술을 고도화할 수 있는 ‘데이터’가 깔려 있다. 일본에 없는 대규모언어모델(LLM)은 라인을 통해 기술을 확보할 수도 있다. 또 AI를 이 플랫폼에 입혀 동남아시아 등으로 국경을 넘어 서비스를 확장할 수도 있다. 라인은 현재 일본뿐 아니라 대만, 태국 등 전 세계 2억 명이 넘는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일본의 르노 닛산 사태로 미루어 보아 일본이 추후 지분 매각 압박을 이어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프랑스 자동차 기업 르노는 1999년 알본 닛산자동차의 지분을 절반 가량 인수해 ‘르노닛산 얼라이언스’를 구축했다. 르노닛산은 글로벌 2위에 올랐으나, 2018년 카를로스 곤 회장이 닛산을 르노의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려 하자 도쿄지검이 곤 회장을 배임 혐의로 체포했다. 결국 르노가 1999년 매입한 닛산 지분의 의결권 43%를 15%로 낮춰 닛산의 르노 보유 지분과 동일하게 맞췄으며, 르노는 닛산 지분 28.4%를 팔지 않고 프랑스의 신탁회사로 옮겨 의결권만 조정한 바 있다.
정보기술(IT) 업계 관계자는 “라인야후 지분 매각 협상이 장기전으로 넘어갔지만, 만약 매각이 현실화되면 네이버의 순익뿐만 아니라 동남아 시장으로 확장하려던 비즈니스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어 최선의 결정을 내리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