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 분양가 양극화 확대…서울 3.5배로 '최고'

입력 2024-04-23 10: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4년 전국 아파트 분양가 격차 현황. (자료제공=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
▲2024년 전국 아파트 분양가 격차 현황. (자료제공=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

올해 전국 분양 단지의 3.3㎡당 분양가 격차가 최대 15배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우리은행 자산관리컨설팅센터 조사에 따르면 연내 분양한 아파트 중 3.3㎡당 가장 높은 가격에 분양한 사업지와 가장 낮은 가격에 분양한 사업지 간 분양가 차이는 15배였다.

지난 1월 분양한 서울 광진구 광장동 ‘포제스한강’의 3.3㎡당 분양가는 1억3770만 원으로, 이달 전남 장흥군 대덕읍에 선보인 ‘대덕읍더포레스트에코파크’ 921만 원과 비교하면 3.3㎡당 1억2849만 원 격차를 보였다.

3.3㎡당 아파트 간 분양가의 양극화는 같은 지역(지자체) 내에서도 뚜렷했다. 격차가 가장 컸던 지역은 서울이었다.

서울 광진구 광장동 ‘포제스한강(1억3770만 원)’과 서대문구 영천동 ‘경희궁유보라(3932만 원)’ 간 분양가 차이는 3.3㎡당 9838만 원으로 3.5배 차이로 나타났다. 포제스한강 1가구 값이면 경희궁유보라 3.5가구를 사들일 수 있는 차이다.

지역 내 분양가 차이가 두 번째로 큰 지역은 부산이다. 부산 수영구 민락동 ‘테넌바움294Ⅰ(3624만 원)’과 부산 기장군 장안읍 ‘부산장안지구디에트르디오션(1536만 원)’은 3.3㎡당 2088만 원 차이로 분양가 간극은 2.4배로 나타났다.

경기도에서 3.3㎡당 가장 높은 분양가를 기록한 곳은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판교TH212(3392만 원)’였고, 가장 낮은 가격에 공급된 사업지는 평택시 현덕면 ‘평택 푸르지오 센터 파인(1415만 원)’으로 두 사업지간 분양가 차이는 2.4배다.

이어서 울산은 3.3㎡당 1.7배, 광주 1.5배, 대구 1.4배 등 지방 광역시를 중심으로 분양가 격차가 컸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지역 내 또는 지역간 아파트 분양가의 격차는 입지의 호불호가 결합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며 “신규 분양과 기존 구축, 경매, 분양ㆍ입주권 등을 상품별 유형을 고루 비교하며 가성비 높은 주택 매입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박스권에 갇힌 비트코인, 美 경제 지표·연준 눈치 보며 연일 횡보 [Bit코인]
  • 밀양 성폭행 사건 재조명…영화 ‘한공주’ 속 가해자들은? [해시태그]
  • 치열해지는 제 4인뱅 경쟁...시중은행이 뛰어드는 이유는
  • “토큰으로 해외송금” 아고라 프로젝트에 KB국민·신한은행 참여한다
  • 오물풍선 자꾸 날아오는데…보험료 할증 부담은 오롯이 개인이?
  •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 '최강야구' 모닥불러 유희관·파이어볼러 니퍼트 등판에 당황한 대구고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8시 월드컵 예선 6차전 중국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1 13:0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695,000
    • -2.07%
    • 이더리움
    • 5,027,000
    • -2.8%
    • 비트코인 캐시
    • 644,000
    • -2.5%
    • 리플
    • 685
    • -2.42%
    • 솔라나
    • 218,600
    • -2.54%
    • 에이다
    • 608
    • -1.78%
    • 이오스
    • 975
    • -1.81%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38
    • -2.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74,650
    • -5.74%
    • 체인링크
    • 22,050
    • -2.56%
    • 샌드박스
    • 571
    • -2.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