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반도체 중심으로 수출 굳건
외인 올 들어 코스피 15조 매입
英자금 매수 1위…대형주 집중
“WGBI·MSCI지수 편입 필요”
원달러 환율이 장중 1350원을 넘어서며, 5개월 만에 연고점을 다시 한번 갈아치웠다. 통상 외국인들은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환차손을 우려해 한국 주식을 매각하지만, 아직 그런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반도체 등 수출 경쟁력이 좋아져 실적 호전이 기대되는 종목은 조 단위로 쓸어담고 있는 것이다. 기업 펀더멘털에 투자하는 외국인 특성상 쉽게 빠져나가긴 어려울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다만, 외국인이 우리시장에서 오래 머무르게 하기 위해선 세계국채지수(WGBI)나 MSCI(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 선진지수 등 편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함께 나온다.
지난 28일 원·달러 환율은 장 중 1351.2원을 터치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1일(종가 1357.3원) 이후 처음이다.
이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늦어지고 있는 탓이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뉴욕경제클럽 연설에서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며 인하 횟수를 줄이거나 미뤄야 한다”고 말했다.
통상적으로 원달러 환율이 크게 오르면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 환차손을 볼 수 있어 ‘매도’ 흐름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현재 외국인들은 매도세보다는 매수세에 좀 더 치중하는 모습이다.
연초부터 이달 27일까지 외국인 투자자들은 코스피 시장에서 15조 원을 홀로 순매수했다. 연일 원달러 환율이 최고점을 경신하는 중임에도 이례적 행보다. 반대로, 개인은 11조1000억 원을 순매도 했으며, 기관도 4조 1000억 원 가량 던졌다. 외국인 투자자가 15조 원을 매수한 까닭은 최근 반도체 시장이 회복되면서 수출경쟁력이 좋아졌고, 이에 반도체 관련대장주들이 지수상승을 이끌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펀더멘털을 중시하는 외국인 투자자 특성상 실적 호전이 기대되는 코스피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와 2위인 SK하이닉스에 매수세가 크게 몰렸다. 또 올해는 정부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추진하면서 수혜주로 꼽힌 현대차, 기아도 순매수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아울러 이번 밸류업 프로그램으로, 외국인 거래대금 중 영국 국적 외국인 투자자의 거래대금 비중이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염동찬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위 영국 비중이 47.4%, 2위 영국령 케이맨제도 비중이 13.1%로 집계됐다”면서 “유럽계 자금 유입을 이끈 힘은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일각에선 영국계 자금은 투자 호흡이 짧기 때문에 증가세를 단정할 수 없다는 목소리도 나오는 가운데, 외국인이 우리시장에서 오래 머무르게 하기 위해선 세계국채지수(WGBI)나 MSCI(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 선진지수 등 편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27일(현지시간) 한국의 WGBI 편입이 또다시 불발됐다. 세계 3대 채권지수인 WGBI에는 현재 미국을 비롯해 캐나다, 영국, 프랑스, 일본, 중국 등 20개 이상 국채가 속해 있다. 추종 자금은 2조~2조5000억달러 수준이다.
한국은 2022년부터 WGBI 편입을 추진, 같은 해 9월 WGBI 관찰대상국에 포함됐다. 다만, 시장 접근성이 그간 걸림돌로 여겨져 정부는 외국인 투자자의 국채시장 접근성을 선진국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제도개선 방안을 계획대로 추진 중이다.
MSCI 선진시장 진입도 아직 요원하다. MSCI는 지난해 6월 한국 증시를 신흥 시장으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한국은 2008년 6월 선진국 지수 편입 관찰대상 국가에 지정됐지만 이듬해 편입이 유보됐다. 이후 신흥 시장에 계속 머무는 중이다. 매년 6월 연례 시장 분류를 재편하지만 관찰대상 국가에 지정될지는 미지수다.
한국 증시가 신흥 시장에 머무르는 이유로는 외국인 투자자에게 폐쇄적이고 공매도 금지 조치가 이어지고 있는 점이 꼽힌다.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면 장기 글로벌 펀드 자금이 국내 증시에 유입되고, 국내 주가의 변동성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