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맵모빌리티, 지난해 매출 2918억…전년비 41%↑

입력 2024-02-23 15: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종호 티맵모빌리티 대표가 4일 서울시 중구 SK타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 중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임유진 기자 newjean@)
▲이종호 티맵모빌리티 대표가 4일 서울시 중구 SK타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 중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임유진 기자 newjean@)
티맵모빌리티는 지난해 연간 매출 2918억 원을 달성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41.1% 늘어난 수치다. 활성 이용자 수 증가를 비롯해 모빌리티 중개·라이프·데이터 등 3대 사업영역 성장세가 지속된 결과라는 게 티맵모빌리티의 설명이다.

가장 크게 성장한 분야는 데이터&테크(Data&Tech)다. 안전운전할인 특약(UBI) 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88.9% 증가했고, TMAP(티맵) 오토와 API&Data 사업은 각각 26.4%, 16.2% 늘었다. UBI는 티맵 플랫폼 활성 이용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운전점수 이용자 수가 지난해 말 1600만 명을 돌파했다. 전체 가입자 중 74%에 달한다.

티맵의 지난해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최대 1471만6752명(10월),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 602만 명을 기록했다.

티맵 오토는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시장에서 지속해서 점유율을 확대하면서 메르세데스-벤츠, BMW 등에도 탑재되며 외연을 확장했다. API&Data 사업은 지난 2년간 고객사를 20% 확장했다.

플랫폼 중개 영역에서는 대리운전 및 발렛 서비스 등이 2022년 대비 153% 늘었다. 대외 불확실성 요인들이 해소된 결과로 해석된다.

모빌리티 라이프 영역의 매출도 올랐다. 공항버스는 여행수요 회복과 함께 티맵 플랫폼을 통한 예약·결제 서비스가 활성화되며 매출이 전년 대비 7배 이상 성장했다. 같은 기간 주차는 90.4%, 광고와 렌터카 사업은 각각 53.8%, 17.1% 늘었다.

티맵모빌리티는 지급수수료 등 고정비용을 효율화하면서 수익성을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연간 당기순손실은 371억 원으로 2022년 손실액인 1662억 원 대비 1291억 원 개선됐다.

이재환 티맵모빌리티 최고전략책임자(CSO)는 “비용 효율화와 동시에 성장 잠재력이 높은 사업의 공격적 확장을 통해 2024년에는 조정 EBITA(상각전영업이익) 기준 흑자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지속적인 혁신과 발전을 통해 반드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열애설·사생활 루머로 고통…실체 없는 '해외발 루머' 주의보 [이슈크래커]
  • 사내 메신저 열람…직장인들 생각은 [데이터클립]
  • 연준, 기준금리 7회 연속 동결…올해 금리 인하 횟수 3→1회로 줄여
  • 금융사 CEO도 힘싣는 '트래블카드'…과열 경쟁에 효과는 ‘미지수’
  • 권도형, '테라사태' 6조 원대 벌금 낸다…美 당국과 합의
  • ‘과외앱 20대 또래여성 살해’ 정유정, 대법 선고…1‧2심 무기징역
  • '나는 솔로' 20기 정숙의 뽀뽀 상대 드디어 공개…'뽀뽀남'은 영호
  • 청약통장 월납입 인정액 10만→25만 상향…41년 만에 개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781,000
    • +0.05%
    • 이더리움
    • 4,916,000
    • -0.69%
    • 비트코인 캐시
    • 625,000
    • -0.08%
    • 리플
    • 683
    • +0.74%
    • 솔라나
    • 212,500
    • -0.09%
    • 에이다
    • 605
    • +1%
    • 이오스
    • 965
    • -0.21%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8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2,750
    • +0.48%
    • 체인링크
    • 21,850
    • +2.01%
    • 샌드박스
    • 561
    • +0.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