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근육의 이상으로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확장성 심장병증'을 앓던 엄마와 아들이 서울아산병원에서 건강을 회복했다. 어머니는 2009년 심장이식을, 아들은 지난해 말 인공심장을 이식받았다.
4일 서울아산병원 심부전·심장이식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확장성 심근병증을 앓던 이 모 씨(30대)는 서울아산병원에서 심장이식 전까지 건강하게 대기할 수 있도록 인공심장을 이식하는 '좌심실보조장치(LVAD) 삽입술'을 받았다. 이 씨의 어머니 또한 같은 질환을 앓아 14년 전 서울아산병원에서 심장이식을 받았다.
2009년 6월, 확장성 심근병증을 앓던 이 씨의 어머니 김 씨(당시 40대)는 유일한 치료법인 심장이식을 대기 중이었다. 김 씨는 서울아산병원 심장이식센터로부터 뇌사자 심장 이식이 가능하다는 연락을 받았고, 정성호 서울아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의 집도 아래 성공적으로 수술을 받았다.
아들 이 씨 역시 어머니와 같은 질환으로 치료가 필요했다. 14년 전과 같이 여전히 심장이식 기증자가 부족한 상황이었지만, 의료수준의 발전으로 이식 이외의 대안이 생겼다. 심장이식을 받기 전까지 안전하고 건강하게 기다릴 수 있도록 인공심장을 삽입하는 것이다. 아들인 이 모 씨는 심장펌프기능을 대신해 혈액순환을 돕는 좌심실보조장치를 삽입하는 수술을 받았다.
지난해 11월 30일 이 씨는 정철현 서울아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의 집도로 4시간에 걸쳐 수술 후 12월 29일 퇴원했다. 이 씨는 “수술 전에는 가만히 있어도 숨이 차고 피로감이 심했는데, 수술 후에는 자연스럽게 숨이 쉬어져 만족스럽다”라며 “퇴원하면 가볍게 유산소 운동을 하거나 가까운 곳으로 여행도 다닐 수 있다고 하니, 더욱 건강한 모습으로 갑진년 한 해를 보내면서 심장이식을 기다리겠다”라고 말했다.
심부전은 심장의 펌프 기능이 떨어져 심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상태다. 관상동맥질환이나 확장성 심근병증, 선천성 심장질환 등이 주요 발병 원인으로, 심부전 초기에는 약물로 치료하지만 말기라면 심장이식이 최선이다.
하지만 심장이식 기증자가 적어 대기기간 중에 사망하거나 급격히 상태가 악화할 수도 있다. 고령이거나 동반 질환이 많은 환자는 심장이식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심부전 환자의 심장펌프기능을 대신하는 좌심실보조장치 삽입술이 시행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은 2015년 6월 3세대 좌심실보조장치를 국내 처음 시행한 이후 작년 한 해에만 26건을 진행해 최근 100례를 달성했다. 좌심실보조장치를 삽입한 환자의 1년 생존율은 전 세계적으로 80% 정도인데, 서울아산병원은 이를 웃도는 82.6%로 집계됐다.
서울아산병원에서 좌심실보조장치를 삽입한 환자의 평균 나이는 58.7세였으며, 최연소 17세부터 최고령 78세까지 다양하다. 그중 41명은 좌심실보조장치를 삽입한 이후 건강하게 대기하다가 심장이식을 받았다.
김민석 서울아산병원 심부전·심장이식센터장은 “높은 심장이식 수술 성공률에도 기증자가 부족해 이식 대기 중 사망하거나 급격히 상태가 악화하는 문제가 발생한다”라며 “서울아산병원에서는 심부전 환자의 치료 경험과 심장이식 수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환자 생존율 및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좌심실보조장치 삽입술도 적극적으로 시행해 성공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아산병원 심부전·심장이식센터는 1992년 국내 처음으로 뇌사자 심장이식 수술 후 2001년에는 국내 최연소 환자 심장이식을 시행했다. 최근까지 900건 이상의 심장이식을 시행하며 국내에서 가장 많은 심장이식 수술을 했다. 생존율은 1년 95%, 5년 86%, 10년 76%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