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국제유가, OPEC+ 자발적 감산에도 하락…WTI 2.44%↓

입력 2023-12-01 07: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내년 1분기까지 하루 총 220만 배럴 감산
공식적인 감산 합의 도달 실패
“실제 감산 이뤄질지 의문”

▲미국 텍사스주 미들랜드 유전에서 원유 펌프잭이 보인다. 미들랜드(미국)/로이터연합뉴스
▲미국 텍사스주 미들랜드 유전에서 원유 펌프잭이 보인다. 미들랜드(미국)/로이터연합뉴스

국제유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OPEC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플러스(+) 산유국들이 추가 감산에 나선다는 소식에도 하락했다.

3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1.90달러(2.44%) 내린 배럴당 75.96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1월물 브렌트유는 0.25달러(0.30%) 하락한 배럴당 82.85달러로 집계됐다.

OPEC+는 공식적인 감산을 발표하지 않았지만, 개별 산유국들이 내년 1분기까지 하루 총 220만 배럴의 자발적 감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사우디아라비아는 하루 100만 배럴, 이라크는 하루 22만3000배럴을 감산하기로 했다. 아랍에미리트(UAE)는 하루 16만3000배럴, 쿠웨이트는 13만5000배럴, 카자흐스탄은 8만2000배럴의 감산을 진행한다. 알제리는 하루 5만1000배럴, 오만은 4만2000배럴의 원유를 감산하기로 했다. 러시아도 내년 1분기까지 하루 50만 배럴의 원유 및 원유 제품을 감산할 예정이다.

프라이스퓨처스그룹의 필 플린 애널리스트는 “트레이더들은 이번 감산이 의무가 아닌 자발적 감산이라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면서 “OPEC+가 실제로 감산을 이행하고 생산량을 줄일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어게인캐피털의 존 킬더프 애널리스트는 OPEC+가 감산 합의와 그 준수에 있어서 큰 문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OPEC+가 미국 등 다른 국가들의 생산량 증가에 압박을 받고 있으며 중국의 경제 역풍으로 아시아에서 시장 점유율을 잃고 있다”면서 “감산은 그들이 이기는 전략이 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일주일만 팝니다"…유병자보험 출시 행렬에 '떴다방' 영업 재개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0:0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786,000
    • -1.06%
    • 이더리움
    • 5,212,000
    • -2.14%
    • 비트코인 캐시
    • 645,000
    • -0.92%
    • 리플
    • 728
    • -0.27%
    • 솔라나
    • 233,300
    • -0.04%
    • 에이다
    • 627
    • -1.1%
    • 이오스
    • 1,121
    • +0%
    • 트론
    • 156
    • +1.3%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000
    • -1.49%
    • 체인링크
    • 25,640
    • +0.23%
    • 샌드박스
    • 617
    • -0.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