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유니휠 전용 타이어 필요할 수도”

입력 2023-11-28 13: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대차·기아, 차세대 구동 시스템 ‘유니휠’ 공개
“휠 무게 늘어 전용 타이어 필요할 수도 있어”
구동 부품 위치 옮기며 다양한 공간 활용 가능

▲유니휠이 장착된 차체 하부 구조를 반영한 모델카(왼쪽)과 기존 전기차의 차체 하부 구조를 반영한 모델카(오른쪽). 유니휠을 통해 구동 부품 위치를 옮겨 보다 넓은 공간이 확보된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그룹)
▲유니휠이 장착된 차체 하부 구조를 반영한 모델카(왼쪽)과 기존 전기차의 차체 하부 구조를 반영한 모델카(오른쪽). 유니휠을 통해 구동 부품 위치를 옮겨 보다 넓은 공간이 확보된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그룹)

현대차·기아가 개발 중인 차세대 구동 시스템 ‘유니버셜 휠 드라이브 시스템(유니휠)’을 위한 별도의 타이어가 필요할 가능성을 언급했다. 다만 구체적인 전용 타이어 개발은 시기상조라며 선을 그었다.

현대차·기아는 28일 ‘유니휠 테크데이’를 열고 관련 기술 개발 현황을 공개했다.

현대차·기아는 유니휠 시스템에서는 기존 차량 좌우 바퀴 가운데 위치했던 구동 부품들이 휠 내부로 위치를 옮기며 휠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만큼 별도 전용 타이어가 필요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기석 현대차·기아 선행기술원 책임연구원은 “(유니휠이) 전기차에 들어가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전기차가 별도의 전용 타이어를 넣듯 별도 타이어를 넣어야 할 수도 있다”라면서도 “타이어에 대한 고민까지 들어갈 단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구동 부품의 위치 변화로 발생하는 빈 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시도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민경철 현대차·기아 선행기술원 책임연구원은 “차량 내 공간 창출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부품은 구동모터다. 모터사이즈가 작을수록 활용 가능한 공간이 넓어진다”라며 “상용차의 경우 후륜에 유니휠을 적용하면 차량 적재량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며 승용차의 경우 트렁크 공간을 더욱 넓게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현대차·기아는 현재 양산 중인 구동모터 중에는 작은 직경에서 높은 출력을 만족하는 제품이 없어 유니휠의 요구 조건에 맞는 모터 개발을 위해 ‘발레오’와 협업 중이라고 설명했다.

유니휠은 구동 시스템을 혁신하면서도 다양한 차종에 적용할 수 있다.

김 책임연구원은 “좌·우 바퀴 사이 공간이 확보되면 스케이트보드형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어 이를 통해 기존에 없던 새로운 차를 개발할 수 있다”라며 “승용차, SUV(스포츠유틸리티차) 또는 지금까지 자동차 분류에 속하지 않는 PBV(목적기반모빌리티) 같은 차량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르포] 일산호수공원·GTX·일자리 '3박자' 갖춘 고양장항지구, 대기수요 몰릴까?
  • '최강야구 시즌3' 중2 투수 유희관? 칼제구로 서울고 타선 묶어…미스터제로 장원삼 등판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중국이 공개한 푸바오 최근 영상, 알고보니 재탕?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호주서도 현물 ETF 출시"…비트코인, 매크로 이슈 속 한숨 돌려 [Bit코인]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유튜브에 유저 다 뺏길라" …'방치형 게임'에 눈돌린 게임업계
  • 오늘의 상승종목

  • 06.04 10:3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144,000
    • +0.72%
    • 이더리움
    • 5,249,000
    • -1.13%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0.39%
    • 리플
    • 724
    • +0.14%
    • 솔라나
    • 230,900
    • +0.74%
    • 에이다
    • 641
    • +1.75%
    • 이오스
    • 1,114
    • -1.24%
    • 트론
    • 159
    • -1.24%
    • 스텔라루멘
    • 147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400
    • +0.53%
    • 체인링크
    • 24,490
    • -3.62%
    • 샌드박스
    • 634
    • +2.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