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규 산업부 장관, 미 상무부 장관 만나 IRA 협조 요청

입력 2023-11-16 11: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미일 산업장관회의로 제도화된 협력 가능해져…내년 초 개최 합의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5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메리어트 마르퀴스호텔에서 지나 러몬도(Gina Raimondo) 미국 상무부 장관과 만나 첨단산업 협력 확대 방안 및 통상현안 등을 논의하기 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5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메리어트 마르퀴스호텔에서 지나 러몬도(Gina Raimondo) 미국 상무부 장관과 만나 첨단산업 협력 확대 방안 및 통상현안 등을 논의하기 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의 상무부 장관을 만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관련 협조를 당부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미국을 찾은 방 장관은 15일(현지시간) 샌프란시스코에서 지나 러몬도(Gina Raimondo) 미 상무부 장관과 만나 양국 간 반도체 등 첨단산업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하고 주요 통상현안에 대한 지속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상무부는 첨단산업, 공급망 재편, 수출통제 등 산업정책과 주요 통상현안의 주무 부처로, 그간 산업부와 각 급에서 긴밀히 협력해 왔다.

방 장관은 올해 4월 한·미 정상회담, 8월 한·미·일 정상회담 등을 통해 양국이 △반도체·배터리 등 첨단산업 공급망 △기술 안보 △핵심 광물 등 여러 방면에서 포괄적으로 협력을 확대해 왔다고 평가하고, 앞으로도 산업부와 상무부가 한미 동맹을 첨단산업·기술 동맹으로 심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이어가자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방 장관은 IRA 잔여 쟁점 등 주요 현안에 대해서도 상무부의 지속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특히 연내 발표 예정인 IRA 해외우려법인(FEOC) 가이던스가 배터리 및 핵심 광물의 글로벌 공급망 구조를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제정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방 장관은 8월 한미일 산업장관회의가 신설돼 3국간 보다 제도화된 협력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평가했다.

양 부처는 내년 초 한미일 산업장관회의 개최에 합의했으며, 이를 통해 반도체 등 첨단산업, 공급망 등 핵심 분야에서 3국의 강점을 살린 협력도 본격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988,000
    • +0.26%
    • 이더리움
    • 5,293,000
    • -0.53%
    • 비트코인 캐시
    • 642,000
    • -0.54%
    • 리플
    • 719
    • -0.96%
    • 솔라나
    • 228,500
    • -2.35%
    • 에이다
    • 624
    • -0.79%
    • 이오스
    • 1,122
    • -0.62%
    • 트론
    • 160
    • +1.27%
    • 스텔라루멘
    • 147
    • -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00
    • -0.47%
    • 체인링크
    • 25,620
    • -1.2%
    • 샌드박스
    • 621
    • +2.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