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관광개발, 제주 드림타워 개장 이후 첫 ‘흑자전환’

입력 2023-11-12 16: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분기 매출액, 전년 대비 100.7% 늘어...2년 9개월 만에 영업이익↑

▲롯데관광개발이 운영하는 제주 드림타워 복합리조트. (사진제공=롯데관광개발)
▲롯데관광개발이 운영하는 제주 드림타워 복합리조트. (사진제공=롯데관광개발)

롯데관광개발이 2020년 12월 제주 드림타워 복합리조트 개장 이후 2년 9개월 만에 첫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12일 롯데관광개발에 따르면 2023년 연결 기준 3분기 매출액 967억7300만 원, 영업이익 3억4000만 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968억 원으로 100.7% 늘었다. 당기 순손실은 295억원으로 적자 폭이 축소됐다.

롯데관광개발의 주력 사업인 제주 드림타워 복합리조트의 3분기 매출은 819억7500만 원으로 전년 동기(435억 원)와 비교해 두 배가량 성장했다. 카지노 이용객이 8만4000명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3.3배로 급증했다.

카지노 부문(드림타워 카지노)의 3분기 순매출(총매출에서 에이전트 수수료 등을 뺀 금액)은 523억2300만 원이다. 올해 1분기 163억 원에 그치던 카지노 순매출은 지난 2분기 (316억7400만 원)보다 65% 성장하면서 2021년 6월 카지노 개장 이후 처음으로 분기 매출 500억 원대를 돌파했다.

3분기 테이블 드롭액(카지노 고객이 칩으로 바꾼 금액)은 3667억9100만 원으로 종전 최고 기록이었던 전 분기(3142억7000만 원)를 525억 원 뛰어넘으며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렸다. 특히 지난해 동기(1292억8800만 원) 대비 2.85배 가량(2375억 원 증가) 큰 폭으로 성장한 수치다.

카지노 이용객 수에서도 전년 동기(2만4859명) 대비 3.3배 이상 급증한 8만3888명을 기록했다. 전 분기(6만2834명)보다도 33% 이상 증가한 수치다.

롯데관광개발 관계자는 “드림타워 카지노의 경우 카지노뿐 아니라 호텔 및 부대시설 전체를 소유 및 운영하고 있어 같은 실적이라도 순매출의 상당 부분을 숙박과 식음료 이용비 등으로 따로 지급해야 하는 다른 카지노보다 수익성이 월등하게 좋은 구조로 돼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174,000
    • +0.41%
    • 이더리움
    • 5,303,000
    • -0.43%
    • 비트코인 캐시
    • 644,500
    • -0.15%
    • 리플
    • 725
    • -0.41%
    • 솔라나
    • 230,700
    • -1.54%
    • 에이다
    • 631
    • +0.48%
    • 이오스
    • 1,138
    • -0.09%
    • 트론
    • 161
    • +2.55%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500
    • -0.18%
    • 체인링크
    • 25,770
    • -1.04%
    • 샌드박스
    • 628
    • +3.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