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학원 밀집도 1위 '대치1동'…노원구도 상위권

입력 2023-11-06 10: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BC카드, 서울시 426개 행정동 내 학원 업종 밀집도 및 매출 분석
학원가 밀집 상권, 빠르게 끼니 해결 가능한 제과 업종 소비 선호

(사진제공=BC카드)
(사진제공=BC카드)

서울에서 학원 업종 밀집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4년 연속 강남구 대치1동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대치1동의 매출액은 양천구 목5동과 노원구 중계1동 등 학원 밀집도 상위 10위 중 9곳의 매출액 합계보다 4배가량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6일 BC카드 데이터사업본부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서울시 내 426개 각 행정동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에서 학원 업종 밀집도는 대치1동이 61.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치1동은 집계가 시작된 2020년 9월부터 꾸준히 60%대를 유지하며 1위를 지키고 있다.

이어 목5동(47.9%), 중계1동(42.7%), 강남구 대치4동(40.1%), 강동구 명일2동(36.0%) 순이었다. 목동5동과 중계1동은 학원 밀집도 2위 자리를 놓고 엎치락뒤치락하고 있다. 명일2동이 5위를 차지하면서 상계9동은 명일2동이 순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같은 지역구 내 대치4동 역시 해마다 학원 업종 비중이 증가추세다. 특히 이 지역의 연평균 성장률은 대치1동 대비 10배 이상 높은 3.4%를 기록하고 있어 대치동 학원가 상권이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BC카드 관계자는 "현장에서 강의를 듣고 바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오프라인 학원 장점과 더불어 같은 지역에서 짧은 시간 내 이동 후 다른 강의를 들을 수 있는 점 등이 학부모와 대치동 학원가를 선호하는 이유로 보인다"고 밝혔다.

강남구 내 행정동 2곳의 학원 밀집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노원구 내 행정동들은 학원 밀집도 상위 10위권에서 비중을 넓혀가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

2020년 학원 밀집도 상위 10개 지역 중 노원구 내 행정동은 2개 지역(중계1동, 상계9동)에 불과했으나, 2021년에는 4개 지역(중계1동, 상계9동, 상계10동, 상계8동)이 포함됐다. 이는 같은 해 강남구보다 2배 많은 수치다.

지난해와 올해에 기록된 상위 10개 지역에서 노원구 내 행정동 3곳이 각각 10위권 내 포함되는 등 학원 밀집도가 가장 높은 행정동을 보유한 지역으로 자리매김했다.

한편 대치1동의 매출은 타 지역(상위 9곳) 전체 매출을 압도하고 있었다. 대치1동의 기준 면적(100㎡)당 매출액은 상위 10위 중 9곳 매출액 합계보다 4배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또 대치1동 등 학원 업종 밀집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간단하고 빠르게 끼니를 해결할 수 있는 제과점 업종에서의 소비가 많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오성수 BC카드 상무는 "학원가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생들과 부모들의 경우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는 업종에서의 소비를 선호하는 것이 확인됐다"며 "소비 데이터 기반의 상권 분석을 통해 예비창업자 및 자영업자 등 개인사업자들이 성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석 콘텐츠를 제공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소송’…상고심 쟁점은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350,000
    • +0.94%
    • 이더리움
    • 5,332,000
    • +1.2%
    • 비트코인 캐시
    • 685,500
    • +3.94%
    • 리플
    • 729
    • +0.28%
    • 솔라나
    • 239,500
    • +2.31%
    • 에이다
    • 639
    • +0.31%
    • 이오스
    • 1,118
    • -0.27%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350
    • +2.02%
    • 체인링크
    • 24,580
    • +0.53%
    • 샌드박스
    • 651
    • +1.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