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셋값 고점을 기록한 2021년 신규계약한 전세 만기가 돌아온 가운데 기존 대비 보증금을 낮춘 재계약 비중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들어 전세 보증금을 낮춰 갱신한 비중은 2022년 대비 10배 이상 늘어난 41%(10만8794건 중 4만4530건)로 집계됐다. 거래 유형을 통일하기 위해 종전 전세(보증금이 있고 월세가 ‘0’인 경우, 전세로 간주함)에서 전세로 갱신된 계약만 분석에 포함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의 감액 갱신 비중이 44%로 지방(34%)보다 10%포인트(p) 높았다. 이는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떨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부동산R114 기준, 2021년 말 대비 2023년 9월 말 평균 전셋값 변동률은 수도권 12.63% 하락, 지방 8.21% 하락으로 수도권의 낙폭이 더 컸다.
전세 보증금 감액 폭도 전년 대비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감액 갱신한 아파트 전세계약 4만4530건 중 5000만 원 이하로 감액한 비중은 39.2%(1만7437건)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48.7%보다 줄어든 수치다.
상대적으로 전셋값 수준이 높은 수도권은 ‘5000만 원 초과 1억 원 이하’ 감액 비중이 35.9%(3만4256건 중 1만2295건)로 가장 컸고, 서울 강남권 대형면적 위주로 5억 원 이상 보증금을 낮춰 재계약한 사례도 확인됐다. 지방은 ‘5000만 원 이하’로 감액한 갱신 비중이 과반을 차지하지만, 세종(77.3%), 대구(58.9%), 대전(51.7%), 울산(51.3%) 등 대도시에서는 5000만 원 초과한 감액 비중이 더 큰 것으로 집계됐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이런 현상은 올해 재계약 물량 대부분이 가격 고점이었던 2년 전 체결된 계약이기 때문”이라며 “연말까지 보증금을 낮춘 재계약이 이어지면서 감액 갱신 비중은 40% 후반을 유지할 전망이지만, 다만 최근 전셋값 상승세를 고려하면 종전 보증금 대비 감액 폭이 줄면서 임대인들의 부담은 줄어들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