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숙 수협은행장, 취임 후 첫 해외 IR…“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입력 2023-09-15 14: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Sh수협은행 강신숙 은행장이 지난 11일부터 나흘간, 싱가포르를 찾아 취임 후 첫 해외 IR(투자설명회)를 진행했다. 강신숙 은행장은 MUFG 아시아지역그룹 본부를 방문해 마크 헨더슨 아시아지역그룹대표와 다양한 글로벌 IB사업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상호 이해증진에 기여한 공로로 감사패를 수여받았다. 사진은 IR 미팅을 마친 강신숙 은행장(왼쪽)과 마크 헨더슨 대표가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사진제공=Sh수협은행)
▲Sh수협은행 강신숙 은행장이 지난 11일부터 나흘간, 싱가포르를 찾아 취임 후 첫 해외 IR(투자설명회)를 진행했다. 강신숙 은행장은 MUFG 아시아지역그룹 본부를 방문해 마크 헨더슨 아시아지역그룹대표와 다양한 글로벌 IB사업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상호 이해증진에 기여한 공로로 감사패를 수여받았다. 사진은 IR 미팅을 마친 강신숙 은행장(왼쪽)과 마크 헨더슨 대표가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사진제공=Sh수협은행)
Sh수협은행 강신숙 은행장이 지난 11일부터 나흘간 싱가포르를 찾아 취임 후 첫 해외 투자설명회(IR)를 진행했다고 15일 밝혔다.

강신숙 은행장은 이번 해외 IR을 통해 싱가포르 소재 글로벌 금융기관과 주요 기관 투자자들과 만나 수협은행의 성장성과 건전성, 비전, ESG경영 실천계획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투자유치 확대 등을 논의하는 등 수협은행의 글로벌 영토 확장을 위한 광폭 행보를 이어갔다.

수협은행은 이번 IR를 통해 일본의 미즈호 파이낸셜그룹 산하 미즈호은행과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연계 외화 신디케이티드론’ 2억 달러 유치에 대한 약정을 체결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 강신숙 은행장은 이번 IR 기간 중 글로벌 투자은행인 독일 코메르츠은행과 일본 MUFG은행 아시아지역그룹 본부를 방문해 향후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상호 이해증진에 기여한 공로로 감사패를 수여받기도 했다.

수협은행 관계자는 “이번 강신숙 은행장의 IR는 국내 19개 금융본부와 각 지역 주요고객사 대상 현장경영을 마치고 곧바로 이어진 해외 기관투자자 대상 IR 홍보활동이라는 점에서 ‘현장경영 대장정’의 글로벌 버전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수협은행 강신숙 은행장은 “수협은행은 앞으로도 마부정제(馬不停蹄)의 자세로 다양한 글로벌 투자은행 등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글로벌 비즈니스 역량을 강화해 나아갈 것”이라며 “아울러 외화 조달처 다변화를 통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고객들의 금리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504,000
    • -0.16%
    • 이더리움
    • 5,291,000
    • -0.28%
    • 비트코인 캐시
    • 644,000
    • +0.23%
    • 리플
    • 722
    • -0.82%
    • 솔라나
    • 230,500
    • -1.37%
    • 에이다
    • 630
    • +0.64%
    • 이오스
    • 1,130
    • +0.36%
    • 트론
    • 159
    • +1.27%
    • 스텔라루멘
    • 148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450
    • -1.46%
    • 체인링크
    • 25,590
    • -0.78%
    • 샌드박스
    • 622
    • +2.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