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RS17 덕 본 보험사…상반기 순익 9조원 '전년比 63.2%↑'

입력 2023-08-30 12: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퇴직연금 매출 급증...보장성보험 중심 전 상품 고르게 성장
회계제도 변경으로 자산 감소, 부채 더 감소해 자본은 증가

올해 상반기 보험회사 53곳(생명보험사 22개사·손해보험사 31개)의 당기순이익이 9조 원을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적개선과 회계제도 변경효과 등의 영향인데, 보장성보험을 포함해 대부분에서 상품에서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다.

30일 금융감독원은 발표한 ‘2023년 상반기 보험회사 경영실적’에 따르면 상반기 보험회사 순이익은 9조144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조5399억 원(6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보사 당기순이익은 3조815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6352억 원(75%) 늘었고, 같은 기간 손보사 순이익은 5조3281억 원으로 1조9047억 원(55.6%) 늘었다.

이는 보장성 보험 등의 판매 증가에 따른 실적개선 영향과 더불어 회계제도 변경(IFRS17·IFRS9) 효과에 기인한 결과다.

같은 기간 수입보험료는 111조3362억 원으로 보장성보험 판매 증가 등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7조9201억 원(7.7%) 증가했다.

생보사의 수입보험료는 52조626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조133억 원(4%) 증가했는데, 이는 보장성 보험(3.4%), 저축성 보험(4.3%), 퇴직연금(33.5%) 등 전년 동기 대비 늘어난 효과다. 한편, 금융시장 불안정 등에 따른 판매 위축으로 변액보험은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했다.

손보사 수입보험료는 58조709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조9068억 원(11.2%) 증가했다. 장기손보(3.3%), 일반손보(8.9%), 자동차보험(2.5%) 등 고르게 증가했고, 퇴직연금의 경우 상품 교체 등의 영향으로 100.3% 급증했다.

또 상반기 중 총자산이익률(ROA)은 1.56%로 전년 동기 대비 0.72%p 상승했고, 같은 기간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0.95%로 1.14%p 개선됐다.

총자산은 1169조 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141조1000억 원(10.8%) 감소했고, 자기자본은 167조 원으로 78조1000억 원(87.9%) 증가했다. 회계제도 변경 등으로 자산은 감소했으나, 보험부채 시가평가 등으로 부채가 더 감소(219조3000억 원)해 자본이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금감원은 올해 상반기 보험회사의 당기순이익에 대해 실적개선과 회계제도 변경효과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금감원은 계리적 가정 적용의 합리성 제고를 위해 보험업계·회계법인 등과 함께 주요 계리적 가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시행했고, 이에 따라 하반기에는 가이드라인의 적용 및 금리·환율 등 시장 변동성 확대 등으로 손익 및 재무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감독회계 주요 가정에 대한 감독을 지속 수행할 것"이라며 "보험영업, 대체투자·부동산PF대출 등 주요 리스크 요인에 대한 상시감시를 철저히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덴마크 불닭볶음면 리콜 이유 따로 있다?…스웨던 출신 유튜버의 추측
  • 야수 전원 출전한 '최강야구'…대구고 2차전 콜드승 쾌거
  • 오늘(18일) 의협 주도 병원 집단 휴진…휴진 병원 대상 불매운동 움직임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연돈볼카츠 점주들 "월 3000만 원 예상 매출 허위" vs 더본코리아 "사실과 달라"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528,000
    • -0.71%
    • 이더리움
    • 4,942,000
    • -3.33%
    • 비트코인 캐시
    • 590,500
    • -2.48%
    • 리플
    • 709
    • +2.6%
    • 솔라나
    • 201,600
    • -5.4%
    • 에이다
    • 565
    • -3.91%
    • 이오스
    • 869
    • -6.05%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6
    • -2.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250
    • -5.22%
    • 체인링크
    • 20,450
    • -4.22%
    • 샌드박스
    • 475
    • -12.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