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코, 아시아 지급결제형 토큰 사업 위해 Zeitgeist.S.A.와 맞손

입력 2023-08-16 09: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블로코, 지급 결제형 토큰 SaaS 기술 및 솔루션 지원
자이트가이스트, 아시아 통합 결제 토큰 구축 목표

▲블로코가 웹3 스테이블코인 전물 발행사 자이트가이스트(Zeitgeist.S.A.)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출처=블로코)
▲블로코가 웹3 스테이블코인 전물 발행사 자이트가이스트(Zeitgeist.S.A.)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출처=블로코)

국내 블록체인 전문 MSP 기업 블로코가 포인트 토큰 결제 지급 분야로의 사업 확장을 위해 ‘자이트가이스트(Zeitgeist.S.A.)’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에 업무협약을 체결한 자이트가이스트는 웹3 스테이블 토큰 전문 발행사다. 회사는 12월까지 블로코의 ‘젬페이’를 기반으로 GEM.ASIA(젬 아시아) 토큰을 출시할 예정이다. 아시아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업종의 기업, 인플루언서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멤버십, 마일리지, 포인트 생태 결합을 통해 실제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웹3 지급 결제 생태계를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글로벌 은행 크레딧 스위스와 아랍에미리트(UAE)의 SEED 그룹 등과도 협업한다.

앞서 블로코는 2018년 한국은행 CBDC 사업의 시발점이 된 분산 원장 기술 기반 소액 결제 모의 POC를 시작으로 스테이블코인 기반 포인트 SaaS ‘젬페이’를 출시한 바 있다. 이를 통해 간편하게 지갑 생성 및 포인트 거래ㆍ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업용 통합 개발 환경(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DE)을 제공하고 있다.

김종환 블로코 대표는 “현재 국내에서는 지급 결제 토큰 관련 사업이 쉽지 않은 규제 환경이라 대부분의 사업들이 해외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해 진행됐다”면서 “이번 사업은 코로나 사태로 철수한 해외 사업 부분이 다시 재기된 성과”라고 강조했다. 이어 “블록체인 전문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사(MSP)로 STO, CBDC 분야의 다양한 사업 경험을 기반으로 ‘Zeitgeist.S.A.’의 성공적인 시장 정착을 위한 기술적 노하우를 지원하겠다“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이어 첸백시까지…'분쟁'으로 바람 잘 날 없는 가요계 [이슈크래커]
  • "여름에는 비빔면"…부동의 1위 '팔도비빔면', 2위는? [그래픽 스토리]
  • 박스권에 갇힌 비트코인, 美 경제 지표·연준 눈치 보며 연일 횡보 [Bit코인]
  • 치열해지는 제 4인뱅 경쟁...시중은행이 뛰어드는 이유는
  • 방탄소년단 진 전역 D-1, 소속사의 당부 인사 "방문 삼가달라"
  • 오물풍선 자꾸 날아오는데…보험료 할증 부담은 오롯이 개인이?
  •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8시 월드컵 예선 6차전 중국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199,000
    • -2.82%
    • 이더리움
    • 4,962,000
    • -3.37%
    • 비트코인 캐시
    • 635,000
    • -2.38%
    • 리플
    • 683
    • -2.01%
    • 솔라나
    • 216,700
    • -3.04%
    • 에이다
    • 605
    • -3.35%
    • 이오스
    • 970
    • -2.41%
    • 트론
    • 165
    • +1.85%
    • 스텔라루멘
    • 138
    • -2.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74,000
    • -5.37%
    • 체인링크
    • 21,650
    • -3.35%
    • 샌드박스
    • 566
    • -3.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