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일자리 전망…조선·반도체·자동차 늘고, 건설 줄고

입력 2023-07-31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산업기술진흥원·고용정보원 10대 업종 일자리 전망

▲2023 하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사진제공=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23 하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사진제공=한국산업기술진흥원)

올해 하반기 기계·조선·철강·반도체·자동차 일자리는 늘고, 건설 일자리는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과 한국고용정보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2023년 하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을 31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기계 △조선 △전자 △섬유 △철강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국내 8개 주력 제조 업종과 건설업, 금융 및 보험업에 대한 하반기 일자리 증감에 대해 예상하고 있다.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고용 증가율이 1.5% 이상이면 '증가', -1.5% 이상 1.5% 미만이면 '유지', -1.5% 미만이면 '감소'로 분류된다.

전망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대비 기계·조선·철강·반도체·자동차 업종 일자리는 증가하며 건설 업종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섬유·디스플레이·금융 및 보험 업종은 전년 동기 고용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업종별로 전망을 살펴보면 조선 업종의 하반기 고용 규모는 1년 전보다 6.4%(6000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호재로는 친환경 연료 추진 선박의 수요 증가의 혜택을 얻을 것으로 내다봤으며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이후 해양플랜트 발주 역시 국내 조선 업종 생산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철강 고용은 작년 동기 대비 2.9%(3000명) 증가할 것으로 봤다. 조선업에서 수주한 선박의 본격적인 생산이 진행되면서 철강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도체 업종은 2.8%(4000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호재로는 디지털 전환 및 비대면 경제의 확산으로 시스템 반도체 활용이 증가하면서 시스템 반도체의 수출 비중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 이에 국내 반도체 설비투자가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자동차의 경우 2.7%(1만 명)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하반기에도 차량 대기수요 및 부품 공급망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친환경차 수요가 증가하여 생산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글로벌 경기 회복 지연과 고금리에 따른 소비심리 약화로 생산은 소폭 증가에 머물 것으로 봤다.

기계 업종은 2.4%(1만9000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주요국 인프라 투자 확대로 미국과 유럽으로의 수출이 하반기에도 양호한 증가세를 이어 나가고, 이차전지 등 수요 산업의 해외 생산공장 증설 등으로 생산 장비 발주가 확대 호재로 꼽혔다. 에너지 및 친환경 인프라 투자가 지속되고 생산 효율화를 위한 자동화 투자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건설 고용은 전년 동기 대비 1.8%(3만8000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반기에도 고금리 유지,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축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 등의 영향으로 민간 주거용 건축 투자도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외에 전자·섬유·디스플레이·금융 및 보험 업종은 지난해 하반기와 비교할 때 고용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일자리 전망은 고용보험 피보험자 자료와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경제활동인구 조사 등을 토대로 산출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이연희, 결혼 4년만에 엄마 된다…"9월 출산 예정, 새 생명 축복해 달라"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대한의사협회, 9일 ‘범 의료계 투쟁’ 선포 예정
  • 삼성전자 노조, 오늘 연차 파업…"생산 차질 없을 듯"
  • 손흥민, 토트넘 떠나 페네르바체행?…레비 회장 "새빨간 거짓말"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702,000
    • +0.37%
    • 이더리움
    • 5,292,000
    • -0.71%
    • 비트코인 캐시
    • 707,000
    • +3.51%
    • 리플
    • 726
    • +0.14%
    • 솔라나
    • 238,900
    • +0.08%
    • 에이다
    • 640
    • +0.63%
    • 이오스
    • 1,098
    • +0%
    • 트론
    • 157
    • -1.26%
    • 스텔라루멘
    • 14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9,450
    • +2.17%
    • 체인링크
    • 24,350
    • +0.87%
    • 샌드박스
    • 650
    • +0.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