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디지털 취약계층 정보접근성 높인 키오스크 선봬

입력 2023-07-02 10:00 수정 2023-07-02 13: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디지털 취약계층의 정보접근성을 대폭 개선한 LG 키오스크. (사진제공=LG전자)
▲디지털 취약계층의 정보접근성을 대폭 개선한 LG 키오스크. (사진제공=LG전자)

LG전자가 2일 디지털 취약 계층의 정보 접근성을 높인 키오스크를 선보였다.

장애인이나 고령자 등 개인이 시각이나 청각 등 신체, 인지 제약에 의한 불편함 없이 서비스나 제품을 이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키오스크 보급이 늘면서 디지털 취약 계층의 정보 접근성에 제한되는 점에 주목했다.

LG 키오스크는 무인솔루션 전문업체 한국전자금융과 한국향 전용 UX(사용자 환경)를 개발했다. △보다 큰 글씨와 선명한 화면을 보여주는 ‘저시력자 모드’ △휠체어를 이용하거나 신장이 작은 고객을 위해 주요 메뉴를 화면 아래쪽에 배치한 ‘저자세 모드’ 등을 제공한다.

하반기부터는 촉각(tactile) 키패드를 활용한 ‘음성 메뉴 안내 모드’를 지원하는 키오스크도 국내 프랜차이즈 매장에 설치할 예정이다. 빛을 전혀 지각하지 못하는 시각 장애 고객도 음성 메뉴 안내로 메뉴를 주문, 결제할 수 있다.

LG 키오스크는 27형(대각선 약 68㎝) 터치스크린을 적용했다.

화면을 터치하는 곳과 센서가 반응하는 부분이 일치해 터치감과 반응 속도도 뛰어나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임베디드 전용 운영체제 '윈도우10 IoT'를 적용해 별도 PC 연결 없이도 작동한다.

한편 LG전자와 한국전자금융은 키오스크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1월 ‘장애인 차별 금지법’ 시행령 개정 이전부터 노력하고 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지정 시험평가기관인 한국접근성평가연구원에서 진행한 ‘정보 접근성 준수 우선 구매 검증용 접근성 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이를 토대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최종 검증 심사를 통해 키오스크 부문 ‘우선 구매 대상 지능정보제품 검증서’를 취득했다. 키오스크 제품 및 키오스크 제조 기업 최초이다. 검증서 발급 제품은 국가기관 등의 우선 구매 대상이다.

지난해에는 자발적으로 외부 컨설팅 기관과 함께 두 차례에 걸쳐 총 77개 항목에 대한 기술성 및 사용자 진단 평가를 진행하기도 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 따르면, 국내 키오스크는 2022년 기준 약 45만 대가 보급된 것으로 추정된다.

LG전자 ID사업부장 백기문 전무는 “LG전자는 전 제품군에 ‘접근성 기능 탑재’를 ESG 전략 과제의 하나로 추진하고 있다”며 “더 많은 고객이 어려움 없이 LG 키오스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진경·김승규 결혼식…손흥민·김민재·황희찬 등 국가대표 총출동
  • 야수 전원 출전한 '최강야구'…대구고 2차전 콜드승 쾌거
  • 오늘(18일) 의협 주도 병원 집단 휴진…휴진 병원 대상 불매운동 움직임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연돈볼카츠 점주들 "월 3000만 원 예상 매출 허위" vs 더본코리아 "사실과 달라"
  • 비트코인, ETF 매도세 지속에 지지부진…"자산운용사도 ETF 매수 주저"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10:3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014,000
    • -1.74%
    • 이더리움
    • 4,841,000
    • -4.84%
    • 비트코인 캐시
    • 570,000
    • -4.76%
    • 리플
    • 698
    • +1.45%
    • 솔라나
    • 192,500
    • -8.33%
    • 에이다
    • 546
    • -6.67%
    • 이오스
    • 817
    • -10.22%
    • 트론
    • 163
    • -2.4%
    • 스텔라루멘
    • 132
    • -5.0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400
    • -8.12%
    • 체인링크
    • 19,480
    • -7.85%
    • 샌드박스
    • 454
    • -14.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