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수주 내 중국 방문 전망…시진핑과 회담도

입력 2023-06-07 07: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찰 풍선 논란에 미뤄진 방중 재추진
2018년 이후 첫 미국 국무장관 방중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5월 16일 상원 청문회에서 증언하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5월 16일 상원 청문회에서 증언하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수주 내에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할 전망이다. 대만해협 대립으로 최근 깊어진 미·중 갈등을 외교적으로 풀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블룸버그통신은 6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블링컨 국무장관이 향후 몇 주 내 방중하는 방향으로 조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방중 기간 베이징에서 시 주석을 만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 주석은 지난해 11월 인도네시아에서 회담하면서 블링컨 장관의 중국 방문에 합의했다. 이후 블링컨 장관은 약속대로 2월 중국을 방문할 예정이었으나, 정찰 풍선 갈등으로 무기한 연기됐다.

블링컨 장관의 방중이 성사되면, 2018년 10월 마이클 폼페이오 이후 첫 미국 국무장관의 방중이 된다.

미국과 중국은 최근 대만해협 대치 등 군사 부문에서 갈등을 빚으면서도 외교적 소통선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미국 국무부 동아태차관보와 세라 베란 국가안보회의(NSC) 중국 대만 담당 선임 국장은 전날 베이징에서 마자오쉬 외교부 부부장(차관)을 만나 양국 관계를 논의했다. 미국 국무부는 성명에서 “미·중간 소통을 유지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솔직하고 생산적인 논의를 했다”고 강조했다.

존 커비 백악관 NSC 전략 소통 조정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국무부 고위 당국자 방중 목적에 대해 “의사소통 라인을 항상 열어두고, 앞으로 더 높은 수준의 방문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를 위해 중국 고위 관계자와 유익한 협의를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블링컨 국무장관의 방중에 대해서는 “가까운 미래에 이 자리에서 이야기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르포] 일산호수공원·GTX·일자리 '3박자' 갖춘 고양장항지구, 대기수요 몰릴까?
  • '최강야구 시즌3' 중2 투수 유희관? 칼제구로 서울고 타선 묶어…미스터제로 장원삼 등판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장군의 아들' 박상민, 세 번째 음주운전 적발…면허 취소 수치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호주서도 현물 ETF 출시"…비트코인, 매크로 이슈 속 한숨 돌려 [Bit코인]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KIA 임기영, 2년 만에 선발 등판…롯데는 '호랑이 사냥꾼' 윌커슨으로 맞불 [프로야구 4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4 14:4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022,000
    • +0.35%
    • 이더리움
    • 5,235,000
    • -1.52%
    • 비트코인 캐시
    • 642,000
    • -0.54%
    • 리플
    • 723
    • +0.28%
    • 솔라나
    • 230,500
    • +0.44%
    • 에이다
    • 637
    • +1.43%
    • 이오스
    • 1,101
    • -3.59%
    • 트론
    • 157
    • -0.63%
    • 스텔라루멘
    • 146
    • -1.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850
    • -0.35%
    • 체인링크
    • 24,510
    • -2.93%
    • 샌드박스
    • 628
    • -2.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