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기업은 경제ㆍ사회적 가치의 균형 찾아야”

입력 2023-05-31 14: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유시장경제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세미나 개최

한국경제연구원은 서울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자유시장경제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31일 밝혔다.

첫 발표는 신현상 한양대 교수가 ‘자유시장경제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주제로 발제했다. 이어 나석권 사회적가치연구원 원장은 ‘ESG 경영의 과거, 현재, 미래 2.0-SV와 EV 동시 추구-’를 주제로 발표했다.

신 교수는 “한국 경제는 지난 70년간 혁신과 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했으며, 부족한 내수시장을 수출 및 글로벌화를 통해 극복해 왔지만, 한국의 경제성장은 2000년대 이후 크게 둔화하고 있다”며 “저출산·고령화 추세로 인해 생산성 저하, 복지부담 증대 등이 예상돼 향후 경제전망이 밝지 않다”고 했다.

현재 한국은 높은 소득집중도, 낮은 행복지수, 기타 다양한 사회문제로 인해 신음하고 있고, 기업은 한국의 화려한 과거 즉 경제 성장에 크게 이바지했으나 양적 성장 일변도의 경제발전 정책, 무한경쟁으로 표방되는 기업들의 이윤추구 극대화 전략으로 인해 사회 전반에 걸쳐 문제가 야기된 것도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두 번째 발제를 맡은 나 원장은 자유시장경제 체제에서 기업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해야 함을 강조했다.

나 원장은 “제품과 서비스가 가치 사슬에 미치는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영향을 측정해야 하며, 측정을 통해 ESG 활동을 금전적 가치로 ‘화폐화’해 기업이 어디쯤 가고 있는지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 정보를 정기적인 보고를 통해 이해관계자들과 공유하고 분석하여 점진적으로 개선하고 ‘작은 변화’부터 시작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마지막 순서로 김종석 규제개혁위원회 위원장의 주재로 김상민 ESG경제연구소장, 신현한 연세대 교수, 이정환 한양대 교수, 황인학 한국준법진흥원장이 참석한 패널토론을 했다.

김병준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직무대행은 “자유시장경제 하에서 기업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경제성장이 촉진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화되어 국민의 삶의 질이 제고됐다”며 “기업경영환경은 앞만 보고 달리는 것이 아니라 주위를 살피며 함께 가야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이연희, 결혼 4년만에 엄마 된다…"9월 출산 예정, 새 생명 축복해 달라"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하늘의 도깨비' F-4 팬텀 퇴역…55년 우리 영공 지키고 역사 속으로
  • 삼성전자 노조, 오늘 연차 파업…"생산 차질 없을 듯"
  • 손흥민, 토트넘 떠나 페네르바체행?…레비 회장 "새빨간 거짓말"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13:4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599,000
    • +0.28%
    • 이더리움
    • 5,287,000
    • -1.1%
    • 비트코인 캐시
    • 696,000
    • +0.36%
    • 리플
    • 725
    • -0.28%
    • 솔라나
    • 237,700
    • -1%
    • 에이다
    • 639
    • +0.31%
    • 이오스
    • 1,094
    • -1.08%
    • 트론
    • 158
    • +0%
    • 스텔라루멘
    • 147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900
    • +0.06%
    • 체인링크
    • 24,130
    • -0.12%
    • 샌드박스
    • 652
    • +0.7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