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으로 사라진 이더리움, 믹서 ‘토네이도 캐시’로 이동”

입력 2023-04-13 18: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플라이빗, 해킹자산 자금세탁 차단 위해 추적조사 진행
“자산 이동 소재 지속 추적해 자산 유입 시 즉시 동결”

(사진제공=플라이빗)
(사진제공=플라이빗)

지난 9일 발생한 해킹으로 탈취된 가상자산 일부가 믹싱 플랫폼 ‘토네이도 캐시’로 이동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가상자산 거래소 플라이빗의 운영사 한국디지털거래소는 글로벌 블록체인 보안업체 비오신(Beosin)과 협력해 최근 발생한 해킹 사고 피해를 줄이고자 적극적인 대응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비오신은 대형 해외 거래소를 비롯해 2000개 이상의 블록체인 기업들에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회사로, 지갑 주소 기반의 고객거래확인(KYT, Know Your Transaction)과 도난자산 및 믹싱된 가상자산 추적 등에 전문성을 지닌 회사이다.

플라이빗은 비오신과의 협력을 통해 이번 180억 원대 지닥 해킹 관련 블랙리스트 지갑주소를 추적해 유출된 가상자산의 이동 경로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해나가고 있다.

분석에 따르면 11일 기준 탈취 가상자산 가운데 일부 이더리움은 가상자산 믹싱 플랫폼 ‘토네이도 캐시로 이동’했다. 믹싱이란 자금 추적이 불가능하도록 여러 지갑의 가상자산을 쪼개거나 섞는 기술을 말한다. 토네이도 캐시는 해커들의 자금세탁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수단 중 하나로, 지난해 8월과 11월 미국 정부로부터 제재를 받은 바 있다.

위믹스 일부는 USDC로, 다른 일부는 이더리움 기반 위믹스로 전환돼 복수 지갑으로 분산돼 보내졌다. 8개 주소로 옮겨진 비트코인은 현재까지 별다른 움직임이 없는 상태다.

플라이빗은 유출된 가상자산이 플라이빗 거래소로 입금되는 즉시 동결 조치하기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체계를 마련하고 유출경로 소재의 지갑주소를 관련기관 및 업계 전체에 공유해 피해 최소화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김석진 플라이빗 대표는 “블록체인 생태계의 투명한 거래 환경 조성과 투자자보호를 위한 업계의 공조가 필요한 시기”라며 “불법적 행위를 통해 은닉된 자산이 활용되는 걸 방지하고 동종업계와 투자자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미력이나마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880,000
    • +2.67%
    • 이더리움
    • 5,273,000
    • +1.33%
    • 비트코인 캐시
    • 653,000
    • +0.62%
    • 리플
    • 727
    • -0.27%
    • 솔라나
    • 236,800
    • +0.59%
    • 에이다
    • 627
    • -0.48%
    • 이오스
    • 1,135
    • +0.98%
    • 트론
    • 155
    • -0.64%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500
    • +0.63%
    • 체인링크
    • 25,300
    • -2.17%
    • 샌드박스
    • 621
    • -0.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