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 누적 환승객 1억 명 돌파…개항 22년만 성과

입력 2023-03-02 15: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인천국제공항 전경. (연합뉴스)
▲인천국제공항 전경. (연합뉴스)
인천국제공항이 개항 22년만인 이달 2일 기준 누적 환승객 1억 명을 돌파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2일 오후 인천공항 제2 여객터미널 232번 게이트 앞에서 누적환승객 1억 명 달성을 축하하는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경욱 인천공항공사 사장,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 공항 관계자들이 참석해 1억 번째 환승객에게 행운의 황금열쇠, 대한항공 왕복항공권 및 그랜드하얏트 숙박권 등 푸짐한 선물을 증정했다.

인천공항 환승객은 개항당시인 2001년 163만 명을 기록한 후 지속해서 증가해 2019년 723만 명을 기록했다. 코로나 직격탄을 맞은 2021년에는 54만 명 수준까지 급감했으나 지난해 전년 대비 400% 성장한 271만 명을 기록하며 중국‧일본 등 경쟁공항 대비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공사는 올해 다양한 환승마케팅 활동에 박차를 가해 환승객 수요회복을 견인함으로써 코로나 회복기 동북아 환승수요 경쟁우위를 선점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현지 여행사를 초청해 인천공항 환승시설 견학 및 환승투어를 체험하는 팸투어, 연간 30여 건 이상의 현지 설명회 및 로드쇼 등 오프라인 마케팅을 본격화하고 하계 성수기 기간 인천공항을 찾는 여객들을 환영하는 ‘웰컴 백(Welcome Back) 패키지’를 선보인다.

하반기에는 인천공항 전체 여객의 20%를 차지(2019년 기준)하는 중국을 비롯한 코로나 이후 후발 국경재개 지역(일본, 대만, 홍콩 등)의 공급과 수요를 활성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마케팅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中 정부의 신공항 건설 및 공항 확장 등 공항산업에 대한 공격적 투자로 동북아 허브공항 지위를 둘러싼 경쟁이 점차 심화되고 있어 관광–항공-공항 산업의 상시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새 마케팅 툴 개발 등 정보 공유 및 마케팅 협력을 강화한다.

김경욱 인천공항공사 사장은 “환승객 수요는 공항이 얼마나 허브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증명하는 가장 기본적인 척도”라며 “환승시설 및 서비스 개선 뿐만 아니라 환승지 선택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최적의 항공네트워크를 확립해 글로벌 메가허브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밀양 성폭행 가해자들 현재 상황…"난 숨겨달라"며 적극 제보 중
  • 항상 화가 나 있는 야구 팬들, 행복한 거 맞나요? [요즘, 이거]
  • 지난해 '폭염' 부른 엘니뇨 사라진다…그런데 온난화는 계속된다고? [이슈크래커]
  • 김호중 후폭풍 일파만파…홍지윤→손호준, 소속사와 줄줄이 계약 해지
  • KFC, 오늘부터 가격 조정…징거세트 100원 인상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오늘의 상승종목

  • 06.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629,000
    • +1.75%
    • 이더리움
    • 5,273,000
    • +0.46%
    • 비트코인 캐시
    • 660,500
    • +1.93%
    • 리플
    • 729
    • +0.41%
    • 솔라나
    • 237,600
    • +3.39%
    • 에이다
    • 639
    • +0.16%
    • 이오스
    • 1,125
    • +0.63%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700
    • +1.46%
    • 체인링크
    • 24,510
    • -0.24%
    • 샌드박스
    • 641
    • +1.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