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디지털플랫폼정부, NASA처럼 국가전략산업 창출”

입력 2022-09-02 15: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출범식에서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출범식에서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2일 디지털플랫폼정부 구축이 국가전략산업이 될 수 있다며 힘을 실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해 “디지털플랫폼정부 자체가 하나의 국가전략산업이라고 생각해 달라”며 “단순히 편리한 시스템을 넘어 국민들에 상상할 수 없는 새로운 효용가치를 창출하는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존 F. 케네디(JFK) 전 미국 대통령의 달 탐사선 발사 계획인 ‘문샷’(Moonshot) 프로젝트를 언급하며 “케네디 대통령이 문 프로젝트를 발표할 때 마음이 이렇지 않았을까 싶다”면서 “미국이 우주개발을 하며 첨단과학기술이 집적돼 다른 기술로 피드백이 됐듯이 디지털플랫폼정부를 구축해나가면서 AI(인공지능)와 데이터라는 관련 전략산업으로 커갈 수 있다”고 기대했다.

강인선 대통령실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미국 나사(NASA·항공우주국)가 우주개발을 하면서 최고 과학기술을 집적하고 다른 분야로 퍼져나갔듯 디지털플랫폼정부 구축 노력도 국가전략산업으로 도약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정부의 모습은 국민들에 다르게 인식될 것이다. 공권력을 행사하는 조직이 아닌 국민과 함께 정책 설계를 하고 복지·예산 등 모든 게 투명하게 공개돼 저절로 평가를 받고 불합리한 점이 시정될 것”이라며 “사용 자체도 또 하나의 정보로 축적돼 시너지도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구체적으로 “단순히 기존 전자정부를 업그레이드 하는 수준이 아니라 정부 데이터가 민간서비스와 자유롭게 결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공공서비스의 획기적 개선과 아울러 불합리한 관행·규제·제도를 바꿔나갈 수 있고, 부처칸막이와 불공정한 공공서비스는 살아남기 어렵게 될 것”이라고 방향을 제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글로벌 자산운용사, ETF로 비트코인 100만 개 확보…마운트곡스, 부채 상환 임박 外 [글로벌 코인마켓]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5:0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312,000
    • -0.4%
    • 이더리움
    • 5,228,000
    • -1.95%
    • 비트코인 캐시
    • 646,500
    • -0.77%
    • 리플
    • 729
    • -0.41%
    • 솔라나
    • 233,300
    • -1.93%
    • 에이다
    • 625
    • -2.04%
    • 이오스
    • 1,120
    • -1.15%
    • 트론
    • 155
    • +0.65%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450
    • -0.86%
    • 체인링크
    • 25,710
    • +1.54%
    • 샌드박스
    • 615
    • -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