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양 산업장관, 원전 협력업체와 간담회…"정부가 최선 다해 지원"

입력 2022-08-10 14: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수원, 두산에너빌리티·원전기자재협력체와 공동협약 체결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집중호우 관련 에너지시설·산업단지 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집중호우 관련 에너지시설·산업단지 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원전업계에 1000억 원 규모의 금융 자금 등 지원을 약속했다. 한국수력원자력도 두산에너빌리티 등 원전 업계와 공동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이 장관은 10일 경남 창원을 찾아 원전기업 12개사와의 간담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 장관은 "원전산업 생태계 활성화 노력에 대해 격려하고 앞으로 원전 협력업체가 활력을 찾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정부도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또 일감과 금융, 연구·개발(R&D),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수출 등과 관련한 정책 현황과 추진 방향을 공유했다. 기업들은 이 장관에게 일감 문제와 금융 관련 애로사항을 전달했다.

이에 이 장관은 1306억 원 규모의 긴급 일감 공급과 원전기업에 대한 1000억 원 규모의 정책자금지원을 거듭 약속했다. 특히 산한울 3, 4호기와 관련해 연내 사전제작 일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수원도 상생 협력대출로 28개 기업에 194억 원을 신규로 지원해 금융 애로사항을 해소할 계획이다.

R&D와 관련해선 산업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수원이 올해 예정된 6700억 원 중 3500억 원가량 집행됐다고 설명했다. 원전 중소기업에 215억 원을 지원키로 하고 이번 달 중 신청을 받는다.

또 원전업체가 몰린 창원이 원자력 클러스터가 될 수 있도록 세제 지원과 보조금 등 혜택을 주는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지정도 적극 검토할 방침이다. 현재 경상남도에서 신청 준비 중이며 김병규 경남 경제부지사도 함께했다.

복합단지 지정과 함께 전력공기업이 새로운 기회를 만들도록 원전업체도 참여하는 약 1조 원 규모의 발전기자재 일감 공급도 계획 중이다. 아울러 원전수출전략추진단을 다음 주부터 본격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선 한수원이 두산에너빌리티, 원전기자재협력업체와 원전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공동협력 협약도 체결했다. 원전 업계가 동반성장을 통해 원전산업 생태계의 경쟁력을 높이고 탄소중립과 에너지 위기 대응, 전력수급 안정화에 이바지하기 위해 함께 노력할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하루 한 시간도 못 쉰다…우울한 워킹맘·대디의 현주소 [데이터클립]
  • 밀양 성폭행 사건 재조명…영화 ‘한공주’ 속 가해자들은? [해시태그]
  • 치열해지는 제 4인뱅 경쟁...시중은행이 뛰어드는 이유는
  • “토큰으로 해외송금” 아고라 프로젝트에 KB국민·신한은행 참여한다
  • 오물풍선 자꾸 날아오는데…보험료 할증 부담은 오롯이 개인이?
  •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 '최강야구' 모닥불러 유희관·파이어볼러 니퍼트 등판에 당황한 대구고
  • 밀양 성폭행 사건 피해자 여동생이 올린 글…판결문 공개 원치 않는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1 09:2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201,000
    • -0.59%
    • 이더리움
    • 5,130,000
    • -1.35%
    • 비트코인 캐시
    • 655,500
    • -1.72%
    • 리플
    • 695
    • -0.86%
    • 솔라나
    • 223,200
    • -1.5%
    • 에이다
    • 616
    • -0.96%
    • 이오스
    • 988
    • -0.7%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41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6,550
    • -4.07%
    • 체인링크
    • 22,220
    • -2.97%
    • 샌드박스
    • 576
    • -2.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