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국제유가, 소폭 상승에도 경기침체 우려에 한 주간 10%↓

입력 2022-08-06 07: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고용지표 호조에 소폭 반등
영국, 경기침체 경고하는 등 우려 여전
미 원유 재고 불어난 점도 부담

▲미국 뉴멕시코주 러빙턴 인근의 한 유전에서 펌핑잭이 석유를 뽑아올리고 있다. 러빙턴/AP뉴시스
▲미국 뉴멕시코주 러빙턴 인근의 한 유전에서 펌핑잭이 석유를 뽑아올리고 있다. 러빙턴/AP뉴시스
국제유가는 소폭 상승했지만, 경기침체 우려에 한 주간 10% 가까이 하락했다.

5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9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47달러(0.53%) 상승한 배럴당 89.01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10월물 브렌트유는 0.24달러(0.25%) 상승한 배럴당 94.36달러로 집계됐다.

한 주간 WTI는 9.74% 하락하는 등 이번 주 국제유가는 부진했다. 이날은 7월 고용지표가 전망치를 크게 웃돌면서 경기침체 우려가 줄어 반등했지만, 전반적으로는 여전히 부담이 큰 상황이다.

CNBC방송은 전날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이 기준금리를 1995년 이후 최대폭인 50bp(1bp=0.01%p) 인상하고 경기침체가 올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시장 불안을 더 키웠다고 설명했다.

앤드루 베일리 BOE 총재는 “생활비 압박이 심하다는 것을 알지만, 금리를 올리지 않으면 더 나빠질 수 있다”며 “영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둔화했고 올해 말 경기침체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오안다증권의 크레이그 얼램 수석 투자전략가는 “분명히 모든 사람이 경기침체 위험을 훨씬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동시에 우린 여전히 타이트한 시장과 이를 뒤바꿀 능력이 없는 생산자들을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 원유 재고가 많이 늘어난 점도 시장엔 악영향을 미쳤다. 전날 미 에너지정보청(EIA)은 지난주 미 원유 재고가 전주 대비 446만7000배럴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인 60만 배럴 감소와 큰 차이를 보인다.

미즈호증권의 밥 야거 애널리스트는 “재고는 기대치를 훨씬 웃돌았고 휘발유 재고는 실망스럽다”고 평했다. 이어 “여름철엔 휘발유 재고가 쌓이는 것을 결코 볼 수 없다”며 “이는 매우 심한 약세를 보인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밀양 사건' 피해자 "함께 분노해주셔서 감사…반짝하고 끝나지 않길"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리더 ‘정용진’의 신세계, 어떻게 바뀌었나 [정용진號 출범 100일]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美 출장 성과에 “열심히 해야죠”
  • 18일 동네병원도, 대학병원도 '셧다운'?…집단 휴진에 환자들 가슴만 멍든다 [이슈크래커]
  • 15만 원 저축하면 30만 원을 돌려준다고?…‘희망두배청년통장’ [십분청년백서]
  • SM, '매출 10% 못 주겠다'는 첸백시에 계약 이행 소송…"법과 원칙대로"
  • 주식 공매도, ’전산시스템’ 구축 후 내년 3월 31일 재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629,000
    • -1.62%
    • 이더리움
    • 4,914,000
    • -2.05%
    • 비트코인 캐시
    • 611,500
    • -4.68%
    • 리플
    • 676
    • -2.17%
    • 솔라나
    • 207,600
    • -4.77%
    • 에이다
    • 596
    • -3.4%
    • 이오스
    • 955
    • -3.24%
    • 트론
    • 166
    • +1.22%
    • 스텔라루멘
    • 139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1,850
    • -3.94%
    • 체인링크
    • 21,530
    • -4.57%
    • 샌드박스
    • 554
    • -4.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