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견된 빅스텝, 상장사 단기차입금 리스크 현실화하나

입력 2022-07-08 16: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1분기 기준 자기자본대비 단기차입금 비율 100% 초과 상장사 68개
차입금 비중 가장 높은 상장사는 티웨이항공… '743.0%'
"금리 상승 취약 업종 분류하고 점검해야"

상장사의 단기차입금 리스크가 현실화하고 있다. 다음주 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를 통해 빅스텝(한번에 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밟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며 자기자본 대비 단기차입금 비중이 높은 특정 업종의 금융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탓이다.

(에프앤가이드)
(에프앤가이드)

8일 금융정보제공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자기자본대비 단기차입금 비율이 100%를 초과하는 기업은 코스피 38개, 코스닥 30개로 총 68개다.

이 중에서 단기차입금 비중이 100% 이상 200% 미만인 기업은 51개, 200% 이상 300% 미만인 기업은 14개, 500% 이상인 기업은 3개로 나타났다.

단기차입금은 대차대조표 작성일(결산일)을 기산일로 해 변제기한이 1년 이내 도래하는 차입금을 뜻한다. 유동성 확보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운영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금융권에서 빌려쓰는 급전이라고 보면 된다.

문제는 단기차입금 비중이 과도하게 높은 기업의 경우 금리 인상시 금융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6%대로 치솟으며 한국은행이 다음주 금통위를 통해 빅스텝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시장에 팽배해 있다.

실제 관련업계에서도 이와 관련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혜진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최근 인플레이션 압력과 그로 인한 금리 인상은 기업 펀더멘탈에 영향을 미친다"며 "기업이 기존 자금조달 비용보다 높은 금리 수준으로 채무를 차환해 금융비용 부담이 확대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정 연구원은 "현재 차입금 조달 구조상 금리 상승에 취약한 업종을 분류하고 점검이 필요한 때"라고 조언했다.

업종별로 보면 항공운수, 자동차부품 등의 업종에서 자기자본 대비 차입금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항공운수 업종인 티웨이항공은 743.0%, 아시아나항공은 576.1%의 차입금 비중을 기록했다.

자동차부품 업종인 화승코퍼레이션은 269.4%, 화승알앤에이는 255.2%, 평화홀딩스는 235.6%를 기록했다. 이외에 TS트릴리온(284.7%), 다우기술(277.3%), CJ CGV(226.5%) 등의 단기차입금 비중이 높았다.

증권가에선 높은 단기차입금 비중이 주가 부담 요소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단기차입금이 많다는 건 재무적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의미로 기업 펀더멘탈과 영향이 있기에 주가에 부담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도 "다만 업종별 특성과 회사의 업력 등에 따라 단기차입금을 바라보는 시각이 조금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노란 카디건 또 품절됐대"…민희진부터 김호중까지 '블레임 룩'에 엇갈린 시선 [이슈크래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새로운 대남전단은 오물?…역대 삐라 살펴보니 [해시태그]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이의리 너마저"…토미 존에 우는 KIA, '디펜딩챔피언' LG 추격 뿌리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046,000
    • +1.8%
    • 이더리움
    • 5,318,000
    • +0.08%
    • 비트코인 캐시
    • 652,500
    • +1.01%
    • 리플
    • 725
    • +0.14%
    • 솔라나
    • 231,100
    • -0.3%
    • 에이다
    • 632
    • +0%
    • 이오스
    • 1,133
    • -0.18%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600
    • +0.41%
    • 체인링크
    • 25,140
    • -2.63%
    • 샌드박스
    • 641
    • +2.72%
* 24시간 변동률 기준